조선시대에서 왕은 왜장자승계가 원칙이였나요?
조선시대에서 왕은 왜 장자승계가 원칙이였는지가 궁금합니다. 조선시대뿐만아니라 고려도 그런거같은데 그이유가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는 유교를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 삼았습니다. 유교에서는 적장자(맏아들)가 부모의 혈통을 가장 잘 이어받았으므로, 적장자에게 상속권을 주는 것이 자연의 이치에 부합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리고 왕의 장자를 후계자로 삼으면 왕권을 안정적으로 계승할 수 있었습니다. 장자는 어려서부터 왕세자로 책봉되어 왕이 되기 위한 교육을 받았으므로, 정치적 역량과 경험이 풍부했습니다. 또 다른 형제들보다 나이가 많아 형제들 간의 갈등을 예방할 수 있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위 다툼이 심해져서 원칙을 세운것 입니다.
이런 원칙이 없으면 국가가 혼란스러울 것을
대비하여 조선에서 원칙을 세운것입니다.
조선의 왕자의 난 등으로 인한 교훈의 결과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서는 왕위 계승 시 부자 계승이 원칙이었습니다. 하지만 형제 상속이나 반정 등으로 인해 해당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는 조선 왕조의 법통을 지키기 위한 대의명분으로 치장되었으며, 적장자 계승을 최고의 미덕으로 여겼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적장자로 왕위를 계승한 왕은 27명의 임금 중 7명뿐이었으며, 나머지 왕들은 다른 방식으로 왕위를 계승하였습니다. 특히 선조 이후로는 서자나 방계의 왕위 계승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조선 시대 왕위 계승 원칙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