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도도한파랑새246
도도한파랑새24621.06.09

삼차신경통은 왜생기는지 궁금합니다?

오른쪽 얼굴이 찌릿찌릿전기가오듯이 아파서 병원에 갔더니 삼차신경통이 의심된다고 머리검사해보자고 합니다.삼차신경통이오는원인이 어떤것들이있는지요?아프긴한데 검사하려니까 걱정이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특발형이며, 통증을 전달하는 통증 민감 들섬유(pain-sensitive afferent fiber)의 신경뿌리에서 발생되는 이소성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편 두꺼운 수초섬유가 압박을 받거나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수초가 탈락되면 그 부위에서 활동전위가 발생하여 인접한 통증 민감 섬유로 전달되어 신경통으로 발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전이 유발부위를 건드리기만 해도 통증이 유발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종종 삼차신경뿌리가 동맥이나 정맥에 의해 압박되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위소뇌동맥에 의한 압박이 가장 흔합니다.

    출처ㅡ 서울대병원 의학정보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삼차신경(trigeminal nerve)은 얼굴과 머리에서 오는 통각과 온도 감각을 뇌에 전달하는 뇌신경입니다. 삼차신경병증이란 삼차신경에 병적인 변화가 생겨 얼굴의 감각 이상 및 씹기 근육의 약화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삼차신경병증의 주된 증상이 통증인 경우에는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이라고 합니다. 삼차신경통은 비교적 흔한 뇌신경통으로, 연간 인구 10만 명당 4.5명꼴로 발생합니다.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비교적 흔하게 나타납니다.

    원인

    삼차신경병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외상입니다. 두개골 기저부에 심한 충격이 가해지면 복잡한 기저부를 통과하는 삼차신경이 다른 뇌신경 및 관련 구조물과 함께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염 질환 중에서 삼차신경병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대상포진입니다. 중이염이나 바위뼈 꼭지 감염(petrous bone apex infection)이 신경절 또는 신경뿌리로 퍼져서 삼차신경과 눈벌림신경(abducens nerve)을 동시에 침범할 수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뇌바닥 부위의 각종 종양에 의해 삼차신경이 압박을 받거나, 삼차신경이 통과하는 해면정맥굴(cavernous sinus) 또는 위눈확틈새(superior orbital fissure)의 병적인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증상

    일반적인 삼차신경병증의 증상은 얼굴 감각의 저하 및 씹기 근육의 약화로 시작됩니다. 삼차신경에만 기능 저하가 일어나는 경우는 흔하지 않으며, 대개 인접한 다른 뇌신경의 기능 부전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삼차신경통은 대부분 삼차신경의 제2, 3번 분지의 지배 영역에 편측성(한쪽)으로 나타납니다. 날카로운 송곳이나 칼로 찌르는 듯한 심한 통증이 전기가 강하게 통하는 것처럼 갑자기 나타나서 수초~2분간 지속되다가 호전됩니다. 수면 시에는 이러한 발작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삼차신경통은 참기 어려운 심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이 때문에 순간적으로 얼굴을 움찔거리게 됩니다. 이를 유통성 틱(tic douloureux)이라고 합니다. 통증은 저절로 나타나기도 하고, 말하거나 음식을 씹을 때 유발되기도 합니다. 또한 얼굴의 어느 부분을 건드리면 통증이 유발되기도 하는데 이 부분을 유발점이라고 합니다. 상악과 하악 분지에서 주로 발생하며, 실제 통증 부위와 전혀 다른 위치에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른 감각 기능은 대개 정상입니다.

    진단

    삼차신경병증은 영상학적 검사나 혈액 검사와 같은 객관적인 검사 방법을 통해 확진하지 않습니다. 환자의 증상과 통증 양상에 의존하여 확진하므로 삼차신경통의 특징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통증은 식사, 세수, 양치, 말하기 등과 같은 무해한 자극에 의해 유발됩니다. 벼락 치는듯한 양상의 통증이 삼차신경 분포 영역을 따라서 발생합니다. 통증 지속 시간은 수초에서 수분 정도입니다. 자극이 사라지면 통증이 사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통증을 설명할 만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으면 자세한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합니다. 두경부 검사 결과가 정상이고, 신경학적 이상이 없으면서, 무통성 자극에도 주기적인 편측성 안면통을 호소할 경우 삼차신경통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치주 감염, 부비동 질환, 중이염, 급성 녹내장, 악관절 질환, 대상포진과 감별해야 합니다.

    치료

    1. 약물 치료
    1) 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 Tegretol)을 처방합니다.
    2) 하루 두 번 100mg을 처방합니다. 복용 횟수를 점차 하루 세 번으로 증가시킵니다.
    3) 복용량을 100mg/day에서 1,200mg/day까지 증량시킬 수 있습니다.
    4) 혈액 검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합니다.

    2. 추가적 치료
    phenytoin, baclofen, valproate sodium, lamotrigine와 gabapentin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수술적 치료
    1) 말초적 접근법
    - 삼차신경의 말초 분지에 일시적인 약물 주입과 함께 한랭 요법(Cryotherapy) 또는 영구적 절제를 시행함

    2) 중추적 시술
    - 경피적 신경절 파괴 : radiofrequency ablation, thermal ablation, glycerol injection, balloon microcompression.
    - 감마 나이프

    출처 :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얼굴이 바늘로 찌르는 통증이 편측성으로 생겼다면 삼차신경통을 의심 할 수 있습니다.

    삼차신경이 어떤 이유로 염증이 일어 난 경우 발생하는 통증으로 통증 양상은 찌르는 듯 하거나 칼로 베는 듯 한 양상으로 매우 심하게 호소하게 됩니다.

    카바마제핀 같은 약물로 통증을 조절 하며 경과를 보고 심하면 감마나이프 방사선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삼차신경(trigeminal nerve)은 얼굴과 머리에서 오는 통각과 온도 감각을 뇌에 전달하는 뇌신경입니다. 삼차신경병증이란 삼차신경에 병적인 변화가 생겨 얼굴의 감각 이상 및 씹기 근육의 약화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삼차신경병증의 주된 증상이 통증인 경우에는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이라고 합니다. 삼차신경통은 비교적 흔한 뇌신경통으로, 연간 인구 10만 명당 4.5명꼴로 발생합니다.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비교적 흔하게 나타납니다.

    삼차신경병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외상입니다. 두개골 기저부에 심한 충격이 가해지면 복잡한 기저부를 통과하는 삼차신경이 다른 뇌신경 및 관련 구조물과 함께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염 질환 중에서 삼차신경병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대상포진입니다. 중이염이나 바위뼈 꼭지 감염(petrous bone apex infection)이 신경절 또는 신경뿌리로 퍼져서 삼차신경과 눈벌림신경(abducens nerve)을 동시에 침범할 수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뇌바닥 부위의 각종 종양에 의해 삼차신경이 압박을 받거나, 삼차신경이 통과하는 해면정맥굴(cavernous sinus) 또는 위눈확틈새(superior orbital fissure)의 병적인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삼차신경통으로 문의주셨습니다.
    삼차신경통이란 얼굴의 감각을 담당하는 뇌신경인 삼차신경의 이상으로 인해서 얼굴 한쪽에 칼로 도려내는 듯한 통증이나 전기 감전된 듯한 참을수 없는 매우 심한 통증이 발작적,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치료로는 항경련제인 카바마제핀이 가장 효과적인 약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외에 마취크림을 사용하거나 원인에 따라서는 수술을 할 수도 있습니다.
    신경과나 신경외과 내원하셔서 진료 받아보시길 권합니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뇌의 혈관이 삼차신경을 누르면서 생기는 것입니다.

    혈관에 박동에 의해 신경이 자극되면 그렇습니다.

    근처 병원에 가셔서 외래 진료 후에 필요 시 영상 검사를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치료 방법은 영상검사에서 병변 및 환자분의 임상증상 등 여러가지를 고려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길게 설명드리기는 어려운 부분이라서 이 정도로 마치겠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반적인 삼차신경병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외상이다. 외상에 의해 두개골 기저부에 심한 충격이 가해질 때 복잡한 기저부를 통과하는 삼차신경이 다른 뇌신경 및 관련 구조물과 함께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감염 질환 중 삼차신경병증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대상포진이며, 중이염이나 바위뼈 꼭지 감염(petrous bone apex infection)이 신경절 또는 신경뿌리로 퍼져서 삼차신경과 눈벌림신경(abducens nerve)을 동시에 침범할 수도 있다.
    기타 뇌바닥 부위의 각종 종양에 의해 삼차신경이 압박을 받거나, 삼차신경이 통과하는 해면정맥굴(cavernous sinus) 또는 위눈확틈새(superior orbital fissure)의 병적인 변화 등에 의해 삼차신경병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삼차신경통은 삼차신경병증에 비해 원인을 밝히기 어려운 편이다.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특발형이며, 통증을 전달하는 통증 민감 들섬유(pain-sensitive afferent fiber)의 신경뿌리에서 발생되는 이소성(정규 장소 밖의) 활동전위(ectopic action potential)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두꺼운 수초섬유가 압박을 받거나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수초가 탈락되면 그 부위에서 활동전위가 발생하여 인접한 통증 민감 섬유로 전달되어 신경통으로 발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전이 유발부위를 건드리기만 해도 통증이 유발되는 현상을 설명한다. 종종 삼차신경뿌리가 동맥이나 정맥에 의해 압박되어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위소뇌동맥에 의한 압박이 가장 흔하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