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그만좀합시다
그만좀합시다23.09.06

정몽주가 왜 절개를 지킨 충신으로 묘사되나요?

정몽주는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이후의 쿠테타를 지지한 고려왕조에서 마냥 충신이라고보기 어려운 인물인데 왜 정몽주를 절개를 지킨 충신처럼 묘사르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정몽주를 충신으로 묘사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정몽주가 고려의 개혁을 위해 노력했다는 점입니다. 정몽주는 고려의 붕괴를 막기 위해 이성계와 함께 위화도 회군을 주도했습니다. 또한, 개혁을 위해 사병 혁파, 중앙집권 강화, 유학 중흥 등을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고려의 개혁을 위한 의지가 강했던 정몽주의 충절을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둘째, 정몽주가 이방원의 쿠데타에 반대하고 처형당했다는 점입니다. 정몽주는 이성계와 함께 조선을 건국했지만, 이방원이 왕위에 오르자 쿠데타를 반대했습니다. 결국, 이방원의 사주를 받은 조영규에게 피살당했습니다. 이러한 죽음은 정몽주가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정몽주가 고려왕조에서 마냥 충신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정몽주는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이후의 쿠테타를 지지했으며, 조선을 건국하는 데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고려 왕조에 대한 배신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정몽주를 충신으로 보는 시각은 고려의 붕괴와 조선의 건국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고려할 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고려는 이미 쇠망의 길을 걷고 있었고, 조선은 새로운 왕조의 탄생을 의미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몽주는 고려의 개혁과 조선의 건국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정몽주가 지닌 충절과 애국심을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말에 안향과 백이정에 의해 성리학에 들어와 절개와 의리를 중시하는 학문적 특성이 지배했던 시기입니다. 고려 말에 우왕과 최영 장군은 부정부패 무능의 상징으로 뭔가 혁신이 필요한 때였습니다. 그러나 불사이군이라는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절의를 지키다 선죽교에서 이방원에게 죽임을 당했기 때문에 고려 말 충신으로 받들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몽주는 고려의 충신이 맞습니다. 이방원이 자신들과 함께 고려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회유를 하였음에도 끝까지 절개를 지키다가 이방원에 의해서 죽임을 당했으니까요. 그가 살았을 당시 위화도 회군을 지지 했다고 것이 그의 배신을 의미 하진 않습니다. 당시 성황을 고려 했을 때 명나라를 치는 것이 옳은 판단 이라고 생각지 않았을 것 이고 그것이 고려를 위해서도 좋을 것이라는 생각에 위화도 철군을 지지 했던 것 입니다. 왕과 생각 하는 바가 다르고 정책이 다르다고 그것이 곧 배신을 의미 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