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30

우리나라에서 신분제가 확실히 철폐된게 언제인가요?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신분제 사회였잖아요.

그런데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달라졌는데. 언제부터 완전하게 신분제가 폐지가 된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갑오개혁 당시에 신분제를 폐지하는 내용이 있었다고 합니다.

    갑오개혁은 1894년부터 약 19개월간 3차례에 걸쳐 추진된 개혁 운동입니다.

    연좌제 폐지, 노비제 타파 등의 신분제 개혁에 관한 운동입니다.

    갑오개혁으로 신분제도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면서 노비들이 해방되자, 양반가나 시골의 대지주들은 일을 시키기 위해 머슴을 고용했고, 많은 노비들도 머슴으로 전환되었다. 구한말~일제강점기에는 농업노동의 주요 원천이었으며 1930년 통계로 보면 고용주 44만2908명에게 머슴 53만7432명이 고용되었습니다.

    이러한 머슴 문화는 6.25전쟁을 기점으로 점차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1980년대에는 농업노동력 전체의 0.5% 이하로 줄어들면서 소멸했고,

    마찬가지로 같은 계층의 식모 역시 80년대 초반까지 유입이 존재하였다가 현재는 소멸되었다고 합니다.


  •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23.08.30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조선시대는 양반, 중인, 상민, 천민의 네 계층으로 이루어진 신분제 사회였습니다. 양반은 국가의 관리와 지주로, 중인은 양반과 상민의 중간 계층으로, 상민은 농민, 상인, 수공업자 등으로, 천민은 노비, 천민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조선 후기에는 신분제의 폐지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해졌습니다. 1886년에는 노비세습제가 폐지되었고, 1894년 갑오개혁을 통해 신분제가 완전히 폐지되었습니다.

    갑오개혁은 조선의 근대화를 위해 추진된 개혁으로, 신분제 폐지 외에도 의회설치, 언론과 종교의 자유 보장, 군제 개혁 등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신분제 폐지는 갑오개혁의 가장 중요한 개혁 중 하나로, 조선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습니다.

    신분제 폐지는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 사회적 계층의 이동이 활발해졌다.

    신분제가 폐지되면서, 신분에 따른 차별이 사라지고, 모든 사람이 동등한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능력에 따라 사회적 계층의 이동이 활발해졌습니다.

    • 사회적 갈등이 완화되었다.

    신분제 하에서는 양반과 천민 사이에는 심각한 갈등이 존재했습니다. 그러나, 신분제가 폐지되면서, 이러한 갈등이 완화되기 시작했습니다.

    • 근대화가 촉진되었다.

    신분제 폐지는 사회의 변화를 가속화시켰고, 근대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따라서, 신분제 폐지는 조선 사회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온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신분제는 법적으로 봤을때 갑오개혁에 사라졌지만 일제감정기를 지나 한국전쟁때까지 그 잔재가 남아있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신분제 폐지는 1894년 갑오개혁, 1895년 을미개혁을 거치며 이뤄지지만 신분에 대한 의식은 광복직후에도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94년 갑오개혁시 과거제, 신분제가 타파되는데 신분제는 중세시대를 특징짓는 봉건적 중요 요소인데 갑오개혁으로 조선시대 유지되었던 양반과 상민, 노비의 차별이 제도적으로 없어진 것입니다. 물론 사람들의 관념상 신분차별 의식이 모두 바로 없어진 것은 아니지만 제도적으로는 신분적 차별이 없어졌다고 합니다. 또한 신분제에 의거 운용되어 양반 재생산의 주요한 장치였던 '과거제' 또한 없어지고 누구나 볼 수 있는 시험이나 추천 등의 과정을 거쳐 관료로 임용 될 수 있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