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산에서 내려온 족제비
산에서 내려온 족제비24.03.27

우리나라 성씨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이름 앞에 붙는 성이라는게 있잖아요 이런 성씨는 어떻게 어떤 이유로 만들어지게 되었는지 우리나라 성씨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성씨는 한자 등 중국 문물의 수입과 함께 도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진흥왕순수비 등 금석문의 자료를 보면 신라인들은 중국에서 건거 온 이러한 이두식 이름을 사용하다가 7세기부터 중국의 한자식 성과 이름을 차용하여 쓰기 시작하였다고 전해 집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 성씨는 크게 본관과 성으로 구성됩니다. 본관은 조상의 시조가 살았던 곳이나 봉해진 땅을 의미하며, 성은 혈통을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성씨는 삼국 시대 이후 이두식 이름을 쓰다가 7세기 이후에 중국의 성씨 제도를 차용한 것이 많습니다. 고려 후기에는 백성들까지 성을 사용하는 영역으로 확대되었으며, 조선 시대에 들어와 임진왜란 이후에는 경제력을 갖춘 외거 노비를 중심으로 성을 갖게 되었고, 1894년 갑오개혁 이후에 모든 사람들이 성와 씨를 갖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