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소시엄 블록체인의 경우, 어느 분야에서 활용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경우, 프라이빗과 퍼블릭 블록체인의 중간 형태를 띈다고 들었습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경우 속도측면에 있어서 큰 장점이 있다고 들었는데, 컨소시엄의 경우는 중간? 형태라고 한다면 애매한 포지션이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드네요.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경우, 어느 분야에서 활용가능한지, 기능과 특징에 있어서도 + 프라이빗과 퍼블릭 블록체인의 딱 중간형태를 띄는 블록체인인지 궁금합니다.
질문자께서 질문해 주신 내용을 중심으로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경우, 어느 분야에서 활용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경우, 어느 분야에서 활용가능한지, 기능과 특징에 있어서도 + 프라이빗과 퍼블릭 블록체인의 딱 중간형태를 띄는 블록체인인지 궁금합니다.
질문자께서도 클레이튼 블록체인과 리브라 블록체인에 대해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클레이튼의 거버넌스 카운실과 리브라 협회(Libra Association)와 같이 여러 회사나 집단이 컨소시엄(이사회, 협회)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블록체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여하여 운영되는 블록체인이 컨소시엄(이사회, 협회)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것을 컨소시엄 블록체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어느 한 회사나 집단이 독자적으로 여러 노드를 구성하고 운영하는 블록체인이라고 한다면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이사회나 협회의 회원의 자격이 있고 인정 받은 노드들만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때 컨소시엄 블록체인이 프라이빗과 퍼블릭 블록체인 사이의 딱 중간 형태라고 하기보다는 넓게는 퍼블릭 블록체인의 반대 개념인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속하되 허가나 인정을 받은 신뢰할 수 있는 노드들로만 구성되었다고 이해하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다음으로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활용, 기능, 특징에 대해서 살펴 보면, 컨소시엄 블록체인이라고 해서 일반적으로 활용 분야에 제약이 있다든가 기능상으로 다른 블록체인과 크게 다르다든가 하는 것은 없습니다.
다만 특징이라고 한다면 앞서 살펴 보았듯이 블록체인의 운영과 관련된 전반적인 의사결정과 합의 과정에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소수 노드들만이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클레이튼의 거버넌스 카운실의 노드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자격 심사를 통과하고 최소 500만 KLAY 이상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고 리브라 협회에 노드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1천만 달러의 기금을 출자해야 합니다.
그리고 거버넌스 카운실에 참여하여 클레이튼 블록체인의 노드를 운영하고 블록을 생성하게 되면 KLAY 코인을 보상으로 받을 수가 있게 됩니다. 또한 리브라의 경우는 리브라 Reserve의 투자 수익금을 배당 받을 수가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보통의 블록체인과 활용이나 기능 면에서 제약이 있거나 하지는 않지만 소수의 신뢰할 수 있는, 허가 받은 노드들만 제한적으로 참여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두드러지는 블록체인의 형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