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비범한애벌래228
비범한애벌래228
22.12.13

마스크 입냄새 제거방법 알려주십시오.

식사를 하고나서 마스크를 바로 사용하게되면 음식 입냄새가 마스크에 베여서 다음에 사용하는게 거북하던데요

마스크 입냄새 제거 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빼어난황로227
    빼어난황로227
    22.12.15

    안녕하세요. 빼어난황로227입니다.

    칫솔말고도 치간칫솔 치실등을 습관적으로 사용하세요.

    가글도 하시고 .. 습관들이면 귀찮지않아요

  • 안녕하세요. 충실한천산갑179입니다.

    대부분 악취는 혀에서부터 나오기때문에 양치질을

    잘해주시는데 중요합니다. 또한, 녹차나 홍차 등에

    들어있는 폴리페놀 성분이 도움이 되실겁니다.

  • 안녕하세요. 정중한날쥐111입니다.

    마스크를 쓰다 보니까 본인의 입냄새를 스스로 자각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스크를 씀으로 인해서 입냄새가 생긴 건 아니고 사실 본인의 입냄새가 있었던 얘기죠.



    그러다가 이제 마스크를 쓰면서 본인이 이걸 자각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네- 입 냄새의 원인은 치과적인 원인과 비치과적 원인이 있습니다.



    치과적 원인은 바로 입속 세균 때문인데요.



    입속 세균 그럼 어디에 많을까요?



    입속 세균은 우리 혀 특히 혀 목구멍 쪽 혀 뿌리쪽에 많이 있고요.



    그리고 또 치석에도 많이 했습니다.



    충치가 있으면 그 충치 속에도 세균이 많겠죠.



    그리고 오래된 보철물이 있는 경우 그 안쪽에서 염증이 생기거나 아니면 잘 맞지 않는 보철물이 있는 경우에도 그 밑에 세균들이 많이 번식하게 됩니다.



    이렇게 세균이 많이 번식하게 되면 그로 인해서 구취가 날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그래서 치과적으로 이런 문제가 있는 경우라면 혀를 깨끗하게 잘 닦아 주시고 또 보철물 주변도 치간칫솔 이라던지 아니면 물총(워터픽) 같은 걸 이용해서 구석구석 잘 닦아 주시는 것이 중요하구요.



    단, 치석이 많은 경우라면 양치질 만으로는 해결이 되지 않기 때문에 치과에 방문하셔서 치석을 깨끗하게 제거 하는 게 좋습니다.



    특히 이미 잇몸병이나 충지가 진행이 많이 된 경우에 아무리 본인이 잘 관리해도 입냄새가 해결이 되지 않기 때문에 치과에 방문하셔서 반드시 치료를 받으셔야 되고 특히, 이게 오래된 경우라면 입 냄새가 사실 상당히 심하게 나가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주변 사람들에게도 꽤 많은 민폐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치과 방문하셔서 꼭 치료를 받으시고 그 외에 구강건조증 이라고 해서요.



    다른 문제가 없지만 내가 침분비가 원활하지 않아서 입안이 건조해지는 경우 우리 침속에는 면역을 담당하는 아주 중요한 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데 그것들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다 보니까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물을 좀 수시로 마셔주시고 구강 운동이라고 해서요.



    혀로 입안 전체, 치아 하나하나, 볼살 이런 데를 잘- 막 움직여서 닦아 주셔서 마사지 해 주시면 침 분비를 촉진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구강건조증이 있으신 분들은 미지근한 물로 입안을 헹구시거나 구강마사지 같은 것을 통해서 침분비를 좀 더 증진시켜 주시는 것이 입냄새 예방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비(非) 치과적인 원인으로 가장 큰 것은 사실 이비인후과적인 문제인데요.



    우리가 '편도염' 혹은 '편도석'이라 그러죠.



    그리고 식도 요 사이는 사실 완벽하게 세균이 제거된 공간이 아니다 보니까 이부분에 세균이 있는 경우에도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이어트 하시는 분들은 식습관이 좋지 않다 보니까 이 부분에서 냄새가 날 수 있거든요.



    '편도석' 있으신 분들은 이비인후과에서 제거를 하실 수 있고요.



    '비염'이 있으신 분들도 치료를 받으시는 게 좋고 '역류성 식도염' 있으신 분들도 냄새가 많이 나기 때문에 이부분 또한 치료를 받으시는 게 좋습니다.



    이외에도 내과적으로 '간염' 이라던지 '당뇨' 라던지 그 외에 '대사성질환' 같은 것에 의해서도 냄새가 날 수 있고 '헬리코박터균'이 있으신 분들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원인들이 있는데요.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건 아무래도 치과적 원인이 많기 때문에 우선 구강관리를 철저히 하시고 그 외에 치과적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체크해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그리고 요즘 마스크를 오래 착용하다 보니까 이 마스크를 한 번 쓰고 버리는 게 아니라 보관했다 또 쓰고 보관했다 또 쓰고 이런 경우가 많잖아요.



    이런 경우에 마스크 보관이 잘못되서 냄새가 날 수도 있습니다 마스크의 가장 큰 기능은 두 가지인데요.



    하나는 '방수' 기능 그러니까 '비말차단' 기능이고 또 하나는 정전기로 인해서 미세 먼지 같은 걸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우리가 마스크를 쓰고 입으로 숨을 쉬게 되면 마스크 안쪽 면에 습기가 많이 차게 되고 또 나도 모르게 입속에 있는 세균들이 그 쪽에 많이 붙어있게 됩니다.



    그 상태로 그냥 지퍼팩 같은데 넣어서 보관했다가 다음 날 또 쓰고 이렇게 하시게 되면 그 안쪽 면에서 세균들이 증식하면서 냄새가 더 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마스크를 쓰신 상태에서도 코로 숨을 쉴 수 있도록 하시고 만약에 안쪽면이 많이 젖어 있는 상태라면 잘 말리신 후에 보관하셔야 그 다음 번 사용하셨을 때 냄새가 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빨리 코로나 극복해서 마스크 쓰지 않는 그날이 왔으면 좋겠고요.



    마스크 벗었을 때 입 냄새 나지 않은 깨끗한 사람으로 거듭나도록 우리 다 같이 노력해 보도록 해요.

    ㅡ펌ㅡ

  • 안녕하세요. 꼼꼼한꿩229입니다..

    물을 자주 마시고요. 커피는 적입니다.. 마스크를 여러장 가지고 말려가며 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