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보통 미국 금리보다 우리나라 금리가 더 높다는데 어떻게 된건가요?
현재 우리나라 금리가 미국보다 낮은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주로 우리나라다 더 높게 유지한다고 들었는데 지금 현상은 어떤 것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말씀대로 일반적으로 자본시장의 안정성이나 국가의 경제력 수준에 따라서 금리가 움직이다 보니 우리나라의 금리는 미국보다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시장입니다. 하지만 작년부터 미국은 높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서 빠르게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하였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보통의 상황이었다면 미국을 따라서 동일한 기준금리인상을 하였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코로나 시기 대출이 20%나 증가하고 변동금리 비중이 92%에 달하다 보니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부동산경기침체와 저신용자대출의 부실화 우려가 커지게 되므로 미국을 따라서 금리를 인상하기 힘든 구조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렇기에 미국이 결국 작녀 6월 미국이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를 역전하기 시작하면서 이 금리격차가 더욱 심화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였던 것입니다. 즉, 지금이 한미간의 기준금리 격차가 벌어지게 된 이유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억제위한 빠른 금리인상'과 '우리나라의 부채 리스크로 인한 금리인상을 늦추는것'으로 인해서 만들어지게 된 결과물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물가가 3%대로 유지되고 있으나 미국은 더 높기 때문에 금리를 더 높게 유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