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과거제도는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의 역사 중에서 고려시대 때 신분적 특권 대신에 실력으로 관리를 뽑게 되었던 과거제도가 시행되었는데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관리를 뽑는 시험은 오래 전부터 실시되었다. 신라 때도 ‘독서삼품과’라는 시험을 통해 관리를 뽑았다는 기록이 있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과거 제도가 시행된 것은 고려의 제4대 임금인 광종 때부터였다. 광종은 왕권을 튼튼히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왕에게 충성하는 신하가 많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중국 출신인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실력이 있되 충성심이 높은 관리를 뽑는 과거 제도를 시행했다.
고려 시대의 과거 제도에서 중심이 된 것은 문과였지만 기술관을 뽑는 잡과와 승려들이 치르는 승과도 있었다. 시험에 통과하면 승려도 관리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과거를 보지 않고도 관리가 될 수 있는 음서 제도도 함께 시행되어 완전히 능력 위주로 관리를 뽑았다고 보기 어렵다.
과거 제도가 체계적으로 시행된 것은 조선 시대였다. 조선의 과거 제도는 문과와 무과, 잡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때에도 가장 중요한 것은 문과였고 시험은 크게 두 가지로 치러졌다. 하나는 유교 경전에 대해 묻는 시험, 또 다른 하나는 당시의 정책에 대해 논술하는 시험이었는데, 응시생은 이 중 한 가지에 응시할 수 있었다. 단계별로는 소과와 대과가 있어 소과에 합격하면 시험 종류에 따라 생원이나 진사가 되고, 성균관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다.
소과 합격생이나 성균관 유생들은 대과에 응시할 수 있었다. 대과는 각 지방에서 치르는 초시, 초시 합격생들을 서울에 모아 치르는 복시, 임금 앞에서 치르는 어전시 등 3단계가 있었다. 어전시에 오르면 일단 관직을 받을 수 있었는데, 과거 성적에 따라 이후 관직 승진이 결정되므로 좀 더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과거 시험에서 장원 급제를 하면 며칠 동안 고향에서 잔치를 벌이기도 했다. 3년마다 치르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임시 시험도 자주 있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과거 제도 - 고려와 조선 시대에 시험으로 관리를 뽑도록 한 제도 (한국사 사전 1 - 유물과 유적·법과 제도, 2015. 2. 10., 김한종, 이성호, 문여경, 송인영, 이희근, 최혜경, 박승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