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굳건한사마귀212
굳건한사마귀21222.05.05

ISA통장,CMA통장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ISA = 3년 이상 의무 가입기간 있음, 입출금이 자유롭지 않음(입금한 돈을 출금하면 그만큼 한도가 살아나지 않음.) 대신 200만 원의 이익까지 통산해서 비과세, 초과 분에 대해서는 분리과세(9.9%)의 세율을 적용하므로 세제 혜택을 보면서 투자할 수 있는 계좌입니다.

    * CMA = 따로 의무가입기간 등이 없고, 입출금이 자유로움. 대신 세액공제, 비과세 등의 혜택이 없는 입출금식 계좌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머티프레이어입니다.

    CMA 계좌는 우리가 은행에서 기본적으로 만드는 입출금 통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ISA 계좌는 기본적으로 금융소득세에 대한 세금 부과율이 적고, 공제금액이 추가됩니다

    ISA 계좌는 개설 후 1년에 2천만원씩 입금한도가 증액하여 총 5년간 1억까지 입금 가능합니다.

    거기서 투자로 불어난 금액에 대해 소득세를 매길때

    CMA는 15.4%, ISA는 9.9%로 알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ISA계좌란? 하나의 계좌로 예/적금, 펀드까지 투자 가능한 절세형 만능계좌 ISA로 일정 기간 경과 후 여러 금융상품의 운용결과로 발생한 이익과 손실을 통산한 순이익 기준으로 세제혜택을 부여하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입니다.

    - 장점

    1. 주식투자 손실시 유리합니다.

    일반형 ISA계좌에서 주식투자를 하여 100만원을 손해봤다고하면, 우리는 이 100만원을 비과세 한도에 적용시켜 원래 200만원인 비과세 한도를 300만원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주식 손실만큼 비과세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어서 굉장히 합리적인 절세가 가능합니다.

    2. 배당소득세 절세효과

    중개형 ISA계좌에선 주식배당소득세에 대해서도 200~400만원까지 비과세 됩니다. 나머지 9.9%는 분리과세 됩니다.

    만약 빠른 목돈 마련을 원하시면 중개형 ISA가 좋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3. 미납입한 금액은 이월 가능

    - 단점

    1. ISA 계좌에는 의무가입기간이 있어서 의무적으로 가입하여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각 은행점마다 1%정도 되는 수수료를 갖고 있는데요, 하지만 최근 영업점들의 경쟁으로 인해 수수료도 점점 내려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3. 중도인출이 불가했으나 가능해지고, 비과세 한도도 점차 늘려지고 있어서 가입자격만 된다면 가입을 하는게 더 낫다고 객관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