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DoubleUK
DoubleUK

하늘은 왜 파랗고 바다는 왜 파란가요?

바다의 본질 자체는 파란 게 아니고 항상 하늘 색을 따라가는 거죠?

하늘은 항상 파랗지만 구름이 그 위를 덮고 있어서 가끔 회색으로 보이는 건가요? 바다는 그걸 비출 뿐이고요?


갑작스런 아이의 질문에 등에 땀이...


쉽게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태양광선 중에서 파란색 빛이 분산되기 때문입니다. 태양광선은 다양한 색깔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파란색 빛은 다른 색깔의 빛보다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파장이 짧은 빛은 대기 분자들과 부딪치면서 산란(scattering)되어 하늘 전체가 파랗게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빨간색 빛은 파장이 길어서 산란되는 정도가 적어 하늘을 빨간색으로 바라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바다도 하늘과 비슷한 이유로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바다 수면에서도 태양광선이 파란색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태양 빛이 빛나는 때, 바다 표면의 물결이 파란색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바다 표면도 파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물은 빨간색 빛과 파란색 빛을 서로 다르게 흡수하고 반사하는데, 빨간색 빛은 물에 잘 흡수되어 바다 깊은 곳에서는 거의 볼 수 없습니다. 파란색 빛은 물에 잘 반사되어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바다가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은 빛이 바다 수면에 들어오면서 파란색 빛이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과 바다가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Scattering) 특성 때문입니다.

      태양으로부터 내려오는 햇빛은 여러 색상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빛의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다른 색상의 빛에 비해 더 많은 산란을 일으킵니다.

      하늘은 태양에서 내려오는 빛 중 파란색 빛의 산란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또한, 지표면이나 대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습기, 대기 중의 분자 등도 빛의 산란을 일으키기 때문에 하늘의 색깔이 다양하게 변화하기도 합니다.

      바다도 마찬가지로, 태양에서 내려오는 빛 중 파란색 빛이 다른 색상의 빛에 비해 더 많은 산란을 일으킵니다. 그래서 바다도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바다의 색은 물의 깊이나 수질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빛이 있기에 인간이 사물으 ㄹ볼수 있습니다. 이 빛이 입사되는 각도나 대기권에서의 굴절 산란 등에 의해서 모두 다르게 보이는 특성을 갖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과 바다가 파란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태양빛이 대기 중을 통과하면서 짧은 파장의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푸른색을 띠는 바로 이 짧은 파장의 빛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것이죠.

      바다의 파란 빛은 약간 다른데요, 빛이 바다를 통과하며 파란 색의 빛만을 반사하여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