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통쾌한다슬기196
통쾌한다슬기19623.11.07

세균이나 바이러스는어떻게 발견이 된건가요?

세균과 바이러스는 사람과 같이 살고 있다고 생각해도 될것 같습니다.

세균과 바이러스는 매우작아서 눈으로 보이지가 않는데

이걸 어떻게 누가 발견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세균과 바이러스는 사람과 같이 살고 있다고 생각해도 될 것 같아요. 세균과 바이러스는 매우 작아서 눈으로 보이지 않지만, 그 존재를 발견한 사람들이 있어요. 세균과 바이러스를 발견한 사람은 17세기에 미생물학자인 앙토니 반 레우웨흐크예요. 그는 현미경을 사용하여 미생물을 관찰하고 그 존재를 알아냈어요.

    현미경은 눈으로 볼 수 없는 물체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구로, 레우웨흐크는 이를 이용해서 세균과 바이러스를 관찰하고 연구했어요. 그 후로도 과학자들은 더 발전된 현미경을 사용하여 세균과 바이러스를 더 자세히 연구하고 있어요.

    세균과 바이러스는 우리 주변에서 매우 흔하게 존재하지만, 그 존재를 알아차리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도구와 방법이 필요해요. 레우웨흐크의 발견은 미생물의 존재를 알리는 중요한 시작점이었고, 이후 과학자들은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세균과 바이러스의 특성과 기능을 알아내고 있어요.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세균과 바이러스는 매우 작아서 눈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현미경을 이용하여 발견되었습니다.

    세균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1676년 네덜란드의 과학자 안톤 판 레벤후크입니다. 레벤후크는 렌즈를 직접 제작하여 현미경을 만들었고, 이 현미경을 이용하여 물에 든 작은 생물을 관찰하였습니다.

    바이러스는 1892년 프랑스의 과학자 샤를 샤르팡티에가 처음 발견했습니다. 샤르팡티에는 닭의 가금병에 걸린 닭의 혈액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던 중, 닭의 세포 안에서 작은 원형의 물체를 발견하였습니다. 샤르팡티에는 이 물체를 "virus"라고 불렀는데, 이는 "독"이라는 뜻입니다.

    레벤후크와 샤르팡티에의 발견은 세균과 바이러스의 존재를 밝혀낸 중요한 사건이었습니다. 이 발견으로 인해 세균과 바이러스가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이러한 발견은 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 발견이전에도 많은 세균을 발견하였습니다. 거의 모든 세균은 세균여과기에 걸리고 통과한 여과에는 균이 없기 때문에 감염성이란 것은 논의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 와중에서도 감염성이 있는 인자가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즉 1892년, 러시아의 D.I.Ivanovski에 의한 담배모자이크 바이러스(TMV: tobacco mosaic virus)의 발견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