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호화로운동고비112
호화로운동고비11223.12.21

바이러스는 어떠한 형태의 생물인가요?

우리가 아프면 세균성병과 바이러스성병에 걸리는데 세균은 알겠는데 바이러스는 어떠한 생물을 바이러스라고 하는지가 궁금합니다.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세균은 스스로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원핵생물로 분류합니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스스로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지 않으며 세포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생물로 분류하지는 않습니다. 바이러스는 캡시드라고 하는 단백질 껍질과, 내부에 유전물질인 DNA나 RNA 만을 갖고 있는 매우 간단한 형태의 물질이며, 숙주세포 밖에서는 증식능력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단순히 결정체일 뿐이지만, 숙주세포 내에서는 숙주의 합성 체계를 이용하여 증식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매우 원시적 생물체로서, 일부 학자들은 핵은 물론 세포막 등의 세포기관도 없고, 독립적 효소가 없어 독립적 물질대사가 불가능하고, 생물체 밖에서는 결정체로 존재한다는 이유를 들어 바이러스를 무생물로 봐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바이러스는 유전물질(RNA)과 그를 둘러싸고 있는 단백질 껍질(캡티드)로 이루어져 있다.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에 침입한 후 역전사효소를 이용해 자신의 RNA를 원판으로 사용하여 cDNA를 만들어낸 뒤, 이를 숙주 세포의 핵 속에 밀어 넣는다. 숙주 세포는 자신의 DNA가 아니라 바이러스의 cDNA를 바탕으로 RNA를 만들어낸다. 이 때, 생성되는 RNA는 숙주 세포의 것이 아니라 바이러스의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바이러스는 자신을 증식한다.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하는 과정과 자신을 증식한 후 세포를 빠져나오는 과정도 연구를 통해 비교적 소상히 밝혀졌다. 2009년에 범유행(pandemic: 전염병의 지구적 유행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최고 수준의 전염병 경고 단계)을 낳았던 ‘신종 플루(H1N1/09)’의 치료약 ‘타미플루’는 바이러스의 세포 탈출구를 봉쇄하여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바이러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1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세포가 아닌 열등한 형태로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바이러스는 매우 독특한 생물 범주에 속하며, 생명체로 분류되는 것에 대해서는 과학계에서 여전히 논란이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구조: 바이러스는 단백질로 구성된 캡시드(capsid)라고 불리는 보호 쉘 안에 유전 물질(RNA 또는 DNA)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부 바이러스는 지질로 이루어진 외부 막(피막)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2. 크기와 형태: 바이러스는 매우 작아서 대부분의 경우 현미경으로만 관찰이 가능합니다. 그 크기와 형태는 다양합니다.

    3. 생명체의 특성 부재: 바이러스는 스스로 성장하거나 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으며, 자체적인 대사 과정도 없습니다. 이로 인해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생명체'로 분류되는 것에 대한 논란이 있습니다.

    4. 숙주 의존성: 바이러스는 생존과 번식을 위해 숙주 세포가 필요합니다. 숙주 세포 내부에서만 바이러스는 그 유전 물질을 복제하고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5. 감염과 병원성: 바이러스는 식물, 동물, 박테리아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생명체를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감염 후에는 숙주 세포를 이용하여 복제 과정을 거치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6. 진화: 바이러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고 진화합니다. 이는 주로 유전적 변이와 자연 선택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바이러스가 생명체인지에 대한 논란은 그들이 생명체의 기본 특성인 자체 대사, 에너지 생성, 성장 등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비롯됩니다. 그러나 그들의 복잡한 진화 과정과 숙주 세포와의 상호작용은 생물학적 연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The members of what the virus operates on are those they lead who are basically independent members who do not generate energy, grow, etc. However, bioconjugation combined with their modification eliminates an important part of biological research.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아프면 세균성병과 바이러스성병에 걸리는데 바이러스는 미생물 중 하나로서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세포 구조를 가지지 않고 단백질과 핵산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생물체라고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바이러스는 호스트 세포에 감염되어 그 안에서만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 생물체의 일종이라고 보기보다는 병원체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구형이나 막대형의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의 크기는 매우 작아서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으로는 관찰하기 어렵습니다. 전자 현미경을 사용해야만 바이러스의 정확한 형태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세포 구조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스스로 생존하거나 번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호스트 세포에 감염되어 그 안에서만 번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바이러스는 생물체라고 보기보다는 병원체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매우 작고 복잡한 생물체이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는 우리가 바이러스성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저희는 계속해서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더 많은 지식을 얻어 바이러스성 질병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생물학적 존재의 중간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유전 물질과 단백질 껍질로 이루어져 있지만, 세포막이나 세포 소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는 스스로 증식하거나 생존할 수 없습니다. 바이러스는 다른 생물의 세포에 침입하여 그 세포의 물질과 에너지를 이용하여 증식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생명체의 특징과 무생물체의 특징을 모두 가진다.


    생명체로서의 특징

    증식한다

    유전적 돌연변이가 발생한다.

    진화한다

    무생물체로서의 특징

    숙주 감염 이후에만 증식한다. 즉 단독으로 증식할 수 없다.

    감염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단백질과 핵산의 결정체일 뿐이다.

    물질대사를 할 수 없다.

    에너지를 만들 수 없다.

    따라서 바이러스를 생명체로 볼 것인가 무생물체로 볼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최근에는 두 가지 가능성을 절충하여 ‘조건부 생명체(conditionally alive)’라는 새로운 용어가 제시되었다. 바이러스는 숙주에 감염하여야만 증식과 진화와 같은 생명체로서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데,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바이러스가 감염 하지 못하든지 감염하여도 증식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바이러스를 ‘죽일 수 있다(can be killed)’는 것이다. 죽일 수 있다면 ‘살아 있어야 한다(alive)’ 는것이고, 숙주에 감염해야만 생명체의 특징을 나타내므로 바이러스는 ‘조건부(conditional)’ 생명체라는 것이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도 세균과 유사한 개념이죠.

    단 인간에게 유해한 존재로 숙주에 기생하여 서식하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