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엄격한비단벌레5
엄격한비단벌레5

코인거래소에 KRW/BTC/USDT 구분이 있는 이유는 몬가요?

업비트 등 코인 거래소에 보면 KRW(원화), BTC, USDT(달러) 기준으로 거래 종목이 다른 이유는 몰까요? 거래 기준 화폐별로 거래 가능한 종목이 다른 이유가 특히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KRW, BTC, USDT 등 거래 기준 화폐별로 거래 가능한 종목이 다른 이유는 각 화폐가 다른 거래쌍을 지원하고, 특히 KRW는 원화로 직접 거래되는 코인에만 해당되며, BTC나 USDT는 다른 암호화폐나 스테이블코인과의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로 교환하는 시스템이냐 비트코인이나 테더로 교환하는 시스템으로 분리된것입니다

    최초의 가상자산은 비트코인이며 이후부터 나온 코인들이 비트코인 교환비율로서 가치가 정해지며 시스템이 확립되었습니다

    이에 초기부터 한동안 해외중심으로 BTC마켓이 가장 기본적인구조였고 이후 테더라는 달러페어기반 스테이블코인이 출시되고 이 테더가 범용성이 되면서 테더인 달러가격기준으로 통용되어 가격을 표시하는게 더 직관적이되면서 해외거래소 중심으로 테더마켓이 커지면서 국내거래소도 세 부문으로 나뉘게 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KRW 마켓은 주로 국내 거래자들을 위한 것으로, 원화로 직접 거래가 가능하고 BTC와 USDT 마켓은 국제 거래를 용이하게 합니다.

    KRW 마켓은 일반적으로 수수료가 더 낮습니다(예: 업비트 0.05%) 그러나 BTC/USDT 마켓: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예: 업비트 0.25%) 그래도 BTC나 USDT로 거래하면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각 마켓별로 거래 가능한 코인이 다른 이유는

    유동성 차이 때문입니다. 일부 코인은 특정 마켓에서 더 활발히 거래됩니다. 그리고 규제 요건에 따라 다릅니다. 국가별 규제에 따라 KRW 마켓에서 거래 가능한 코인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거래소 정책에 따라 다릅니다. 각 거래소의 상장 정책에 따라 마켓별 거래 가능 종목이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거래소에는 원화, 비트코인, 테더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화폐로 거래를 지원합니다.

    여기서 해당 화폐로 거래 가능하도록 시장을 개설해 뒀기 때무에 자신이 원하는 화폐를 이용해 거래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거래소에서 사용되는 기본 화폐 단위를 다양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KRW 원화로 매수를 하는 사용자가 있을수 있고, BTC로 거래를 하는 사용자가 있을수 있음 입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상화폐 거래소에서는 꼭 원화로만 코인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다른 코인이나 달러로 구매할 수 있게 만들어서 다양한 투자자들을 모집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또한 코인별로 지원하는 거래 화폐가 다른 것은 해당 코인 개발팀에서 로직을 짰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