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후련한크낙새112
후련한크낙새11222.10.15

무릎이 시큰거리고 걷고나면 먹먹해지는 느낌이 들어서 정형외과 진료결과, 병원엑스레이 상 특이소견 없다고 하는데 어떻게 관리를 해 나가야 할까요?

나이
54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무릅연골 파열이나 연마로 인한 증상인지

무릅주변 근육경직 등으로 인한 증상인지

어떻게 병원 치료나 일상치료를 해나가야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엑스레이상 퇴행성 관절염을 감별하는 것은 아주 어렵지 않지만 무릎은 연골 및 인대로 복잡한 관절이므로 증상이 지속된다면 내원하시어 추가 MRI등을 시행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관절이 붓고 아플 때는 쉬는 것이 좋습니다. 통증이 심하지 않으면 관절 운동 범위 유지를 위해.. 구부렸다가 펴는 운동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 제자리 걷기나 평지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이나 물속에서 걷기운동을 해서 체중부하를 최대한 줄인 상태에서 근력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계단오르내리기, 등산은 피해야하는 운동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무릎 연골의 손상으로 인한 증상은 무릎뼈 아래가 시큰거리고 통증이 있으며 특히 계단을 내려가거나 내리막을 가거나 무릎을 구부리는 경우 증상이 심해집니다. 주변의 힘줄이나 인대의 손상으로도 발생할수 있으며 심하지 않으면 휴식 및 물리 치료 정도로 호전이 되겠습니다. 무릎에 무리가 갈수 있는 동작, 운동은 피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체외 충격파나 주사 치료를 시행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무릎에 무리가 되지 않고 허벅지 근력을 강화할수 있는 수영이나 평지 걷기, 실내 자전거가 좋습니다.


  •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서 무릎 관련 모든 것을 감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엑스레이 상 이상 소견이 없더라도 골관절염 등의 문제에 의한 증상일 수 있으므로 무릎에 부담이 가는 활동 및 운동을 최소화하고 관리를 하며 경과를 지켜보시고, 증상이 차도가 전혀 없을 경우 MRI 등의 더 정밀한 검사를 통해서 보다 자세히 상태를 평가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