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가 나당 전쟁에서 승리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삼국통일 후에 당나라와 신라는 전쟁을 벌였는데요. 당시 당나라의 국력이 강했음에도 신라가 방어할 수 있었던 비결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신라가 나당 전쟁에서 승리한 것은 고구려 부흥군과 연합작 전 등 우리 민족적 단결을 바탕으로 하였습니다. 이들은 신라군과 함께 전투에 참여하여 당군을 압박하였습니다. 신라는 매소성 전투, 그리고 기벌포 전투에서 승리하여 결국 당군을 축출하였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대내적인 요인으로 보면 백제와 고구려를 상대로 하는 전쟁과 전투를 치르면서 실전경험이 풍부하고 훈련이 잘 된 고참병과 정예병이 많았고 화랑과 진골 출신의 귀족과 장수들이 솔선수범을 해서 전쟁터에 나섯고 신라인들이 문무왕을 중심으로 단결해서 당과 맞서 싸웠다는 것이 요인으로 봐야합니다.
그 다음으로 고구려와 백제유민들을 지원하거나 그들을 신라군으로 받아들여서 병력의 열세를 극복하고 당과의 전쟁과 전투에서 실전경험이 풍부한 고구려 유민들을 우대했었고 강력한 당기병과 용병 역할을 하는 거란과 말갈 기병을 상대할 수가 있는 장창당 이라는 보병과 천보노 라는 당이 탐낼 정도로 우수한 성능을 가진 무기가 있었고 성과 산성을 근거지로 해서 지형지물을 잘 활용한 측면도 이점으로 작용해서 신라는 나당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당을 몰아낼 수가 있었습니다.
대외적인 요인으로는 당은 고구려를 상대로 하는 전쟁에서 국력과 군사력을 많이 소모했었고 토번과 돌궐을 상대로 하는 전쟁이 중요했었고 신라를 정복하는 것은 그 다음 문제 였다면 신라를 상대로 하는 전쟁에 신경을 쓸 여력이 없었다고 보면 국제정세가 신라에 유리하게 작용을 했다고 봐야합니다.
무엇보다도 나당전쟁은 신라가 당의 세력을 몰아내면서 태종 무열왕 김춘추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당태종 이세민을 만나서 동맹을 맺고 연합군을 구성하면서 약속한 백제의 영토와 대동강 이남의 고구려 영토는 신라에 준다는 약속을 신라가 군사력으로 당을 몰아내면서 쟁취를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