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의 모든 노드가 동시에 오프 체인이 되면?
블록체인은 생성되는 블록의 무결성을 각 노드들이 검증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블록을 조작하기 위해선 과반수인 51% 이상의 노드를 조작해야 하구요.
여기서 궁금한건 그럴리 없지만 이 블록을 검증하는 노드들이 일시에 오프 체인이 되면 어떻게 되나요?
예를 들어 1분간 모든 노드가 인터넷 연결이 끊긴 오프라인 상태가 된다거나.
엉뚱하지만 블록체인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개념을 잡아가다 보니 궁금해졌습니다.
질문자께서 질문해주신 내용을 중심으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블록을 검증하는 노드들이 일시에 오프 체인이 되면 어떻게 되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트랜젝션을 처리하고 합의에 도달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들이 일시에 오프라인 상태가 되어버리면 트랜젝션이 처리되지 못하고 '트랜젝션 완전 동결 사태'에 빠지게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질문자께서 질문해 주신 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례가 있으므로 그것을 바탕으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얼마 전 스텔라루멘 블록체인에서 '트랜젝션 완전 동결 사태'가 벌어진 바가 있습니다. 스텔라루멘 블록체인은 스텔라 프로젝트에서 운영중인 3개의 대표 노드와 프로젝트에서 승인한 비교적 소수의 노드들로 블록체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다른 블록체인에 비해 중앙화된 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의 블록체인은 노드들의 신뢰성은 매우 높으나 소수이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 중 특히 대표 노드에 문제가 생길 경우 블록체인의 운영에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다른 블록체인들도 노드들 간에 해시레이트 차이가 있지만 스텔라의 경우는 전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트랜젝션 처리와 블록 생성에 참여하는 노드들의 수가 적은 데다가 대표 노드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더욱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이번에 트랜젝션 완전 동결 사태가 빚어진 이유도 이 스텔라 재단에서 운영중인 대표 노드들이 알 수 없는 이유로 대거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됨(블록체인 노드 중단)에 따라 트랜젝션의 처리와 블록 생성을 위한 합의에 도달할 수가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블록체인이 트랜젝션을 처리하지 못하고 동결 상태에 빠지게 되면 노드들이 복구될 때까지 사실상 블록체인이 멈추는 상태가 되고 아무런 기능을 할 수 없게 되어버립니다.
그러나 노드가 복구되면 전체 네트워크의 거래 내역을 검증한 후 노드들이 최신 거래 내역을 동기화한 후 계속 이어서 블록체인을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