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23.11.03

조선전기 방위체제인 진관체제는 어떤방위체제인가요?

조선전기 방위체제를 진관체제라고 하던데요, 그런데 조선전기 방위체제인 진관체제는 어떤방위체제인가요? 그리고 조선중기부터 진관체제가 유지되지 못했던 이유가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진관 체제는 조선 전기에 시행된 지방 방위 체제로, 각 지역의 수령들이 군사 지휘권을 가지고 지역 방어를 책임지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조선 초기의 군사 제도로서, 지방의 군사력을 강화하고 국가 안보를 유지하기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전기 지방방위체제로, 조선 초기 해안과 국경의 중요한 곳에만 진을 설치했던 방위체제는 변방만 지키다가 외적의 침입을 당해 그곳이 무너지면 내륙은 방어할 수 없는 위험이 있으므로 세조때부터 전국을 여러개의 진관으로 개편, 1466년 진관체제를 완성합니다.

    중요 지역을 거진으로 하고 나머지 주변의 여러 진을 그에 속하도록하면서 대부분 목사가 겸하는 첨절제사가 거진을 단위로 하는 진관의 군사권을 쥐도록 하고, 말단의 여러 진은 군수 이하가 직급에 따른 병마직함을 맡게 했으며 수군 역시 진관조직을 갖추어 지방의 최고사령관을 수군절도사로 했으나 육군과 달리 제주나 교동 등을 제외하면 수령의 겸임이 없었습니다.

    전국을 모두 진관체제로 국방 조직을 짰다고 하나 이 모든 지역에 무장한 군사가 상주하는 것은 아니며, 전략상 특수지대를 설정해 긴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군사를 상주, 그에 따라 전국 각지에서 군정으로 설정된 사람들은 징발이 되면 중앙에 번상하고, 특주지대의 방위를 맡는 평시에는 비번인 상태로 거주지에서 자기 생업에 종사합니다.

    즉, 진관체제는 성립 기반이 너무 광버위하고 군사를 잘 알지 못하는 수령들이 지휘자를 겸직, 군사들의 기반이 허약하다는 모순을 가지고있어 군역의 폐단으로 정병체제가 흔들리면서 한계를 드러내 후기에 제승방략체제로 바뀌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건국 초기 조선은 군익도 체제라 하여 연해안 지역에만 진을 설치하여 방어조직을 갖추었습니다. 그러나 내륙 지방의 주, 군, 현에는 방어 조직이 없어 문제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 군익도 체제를 내륙지방까지 확장시킨 지방의 군사 방어 체제가 진관체제입니다.


    진관체제는 행정 단위 조직인 "읍"을 군사조직인 진으로 편성한 뒤, 각 읍의 수령이 군사를 지휘토록 한 제도입니다. 그리고 군사적 요충지에는 "주진"을 설치하여 병마절도사가 지휘하도록 했습니다.


    따라서 진관체제는 고을 수령의 통제 아래 그 고을의 지리적 이점을 고려한 군사작전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지닙니다. 그리고 하나의 진이 무너졌더라도 다른 진이 살아있어서 방어선 역할을 담당하였죠.


    그러나 진관체제는 서서히 문제점을 드러냈습니다.


    일단 행정 단위에 따른 방어지역 설치로 많은 군사가 필요했고, 그에 필요한 재정도 상당히 소요되었습니다.


    군역에 부담을 느낀 양인 농민들이 도망가거나 다른 사람을 사서 쓰는 대립행위가 성행합니다. 심한 경우 군역 대상이 아닌 사람까지 동원할 정도였죠.


    또 수령은 어찌됐든 문관 출신이므로 군사 업무에 관심을 쏟지 않게 됩니다. 더욱이 군사가 한곳에 집결되어 있지 않고 각 읍에 흩어져 있으므로 특정 지역에 병력을 집중시키기가 어려웠습니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들은 중종ᆞ명종 시기 삼포왜란과 을묘왜변으로 터져버렸고, 조선은 군사 전문가가 지정된 방어 지점에서 집결한 군사를 지휘해 적과 맞서 싸우는 제승방략으로 방어체제를 전환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