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에 얼음이 하얀색인데 푸른색으로 보이는 이유가 뭔가요?
우리가 남극이나 북극에 빙하를 보면 다 하얀색인걸 알수 있는데요.
자세하게 보면 투명한 얼음이 엄청나게 파란색으로 보이는것은 착각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얼음이 푸른 빛을 띠는 이유는 얼음은 태양빛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의 빛을 주로 반사하고, 나머지 색의 빛은 흡수합니다. 이렇게 반사된 파란색 계열의 빛이 우리 눈에 들어와 얼음이 푸르게 보입니다. 얼음 속에 들어 있는 공기 방울이 빛을 산란시켜 얼음이 더욱 푸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순수한 물의 경우 아주 약한 푸른빛을 띠고 있습니다. 따라서 얼음이 녹았을 때도 약간의 푸른빛을 띠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얼음이 푸른빛을 띠게 되며, 특히 남극의 얼음은 눈이 쌓이고 녹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불순물이 제거되어 더 맑은 푸른빛을 띠게 됩니다. 이제 왜 남극의 얼음이푸른색으로 보이는지 아시겠는지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
실제로 푸른색으로도 보이는 것은, 과학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얼음은 빛이 통과할 때 붉은색 파장의 빛을 더 많이 흡수하고, 푸른색 파장은 덜 흡수합니다. 이로 인해 투과되어 나오는 빛이 푸른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고, 또 빙하는 오랜 시간 동안 눈이 쌓이고 압축되어 이 과정에서 공기방울이 빠져나가 더욱 투명해지며, 압축된 얼음일수록 진한 푸른색을 띄는 것입니다.
그리고 얼음이 두꺼울수록 빛이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진다고 합니다.
단순히 하얀 눈은 모든 파장의 빛을 반사하여 하얗게 보이지만 압축된 얼음은 빛을 투과시키면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얼음이 하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빛이 얼음에 닿으면 빛이 분산되면서 산란이 되는데 이때 우리 눈은 모든 빛을 동시에 합치게 되면 하얀색이 되는데 그러한 빛의 합성이 일어나서 우리눈에 하얗게 보이게 되는 것 입니다.
모든 색을 섞으면 검정색이 되고 모든 빛을 섞으면 하얀색이 입니다.
하지만 투명한 얼음은 푸른색으로 보이기도 합니다.이는 빛의 파장중에서 푸른색이 투명한 얼음속으로 들어갔다가 흡수되지 못하고 다시 반사나 산란을 통해 나오기 때문에 푸른색으로 보이는 것 입니다.
이는 하늘이 푸른것과 마찬가지로 햇빛이 대기를 통과할때 파장이 짧은 파란색을 통과시키지 못하고 반사나 산람되어 우리눈에 푸르게 보이는 것과 동일한 원리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