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방귀도 불이 붙을수 있나요? 이유가 뭔지궁금해요.

인터넷을 보다보니 방귀가 불붙는 영상을 본적이 있는데요.영상이 사실인지요?

실제 생활에서도 가능한 일인지요? 붙으면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일입니다.

    원인은 방귀에 메탄가스가 불이 붙을 만큼 많이 있어야 겠지요.

    특이한 것은 메탄가스가 지구 온난화의 원인으로 뉴질랜드에서는 축산농가에 방귀세를 부과할것이라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방귀에는 수소, 황하수소 그리고 메탄등이 있는데요. 이 중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로 메탄이며 이것이 방귀에 불이 붙는 가장 큰 원인이 됩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가스버너에 바로 이 기체가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메탄이 워낙 인화성이 강고 많은 열량을 발생시키기 때문이죠

  • 우리가 하루에 방귀를 뀌는 횟수는 대략 10∼15회. 그 양은 8리터 정도. 방귀는 약 4백종류의 가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산화탄소(20∼30%)와 메탄가스(20∼30%)가 제일 많다. 다음은 유화수소, 질소 순. 이 중에서 불이 붙는 인화성 가스는 바로 메탄가스. 메탄의 양이 늘어날수록 방귀에 불이 더 잘 붙는다.

    고약한 방귀 냄새는 콩이나 고기 등 단백질이 분해될 때 생기는 ‘유화수소’와 ‘인돌’이 주범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정확하진 않다. 콩에는 ‘스타치오스’와 ‘라피오스’라는 올리고당이 들어 있는데 사람은 이들을 소화시키지 못하지만 장내세균은 이들을 분해해서 가스를 만든다.

    출처 :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19981103/7392228/1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방귀에 인화성 가스인 메탄가스가 함유되어있기때문에 영상은 사실입니다

    실제로 인위적으로 방귀에 불을 붙이다가 부상당한 사례도 있다고하니 실제생활에서도 가능은 하나

    따라하지 않는편이 좋겠습니다

  • 방귀에는 메탄가스가 포함되어 있고, 이 메탄가스가 불이 붙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탄가스의 양이 많다면 방귀에도 충분히 불이 붙을 수 있습니다.

    실제 방귀에 불이 붙는지 실험해보다가 엉덩이에 화상을 입는 경우도 있습니다.

데스크탑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휴대폰으로 QR을 찍으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