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24

한국의 기준금리가 미국의 기준금리보다 낮아야하는이유?

요즘 인플레이션때문에 미국이 빅스탭이니 자이언트스탭이니 해서

금리를 올리자나요. 그에 따라서 한국을 포함한 각국에서도 금리를

올리자나요.

1.한국금리가 미국보다 왜 낮아야하나요?

2.한국금리가 미국보다 높을 경우와 낮을 경우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류경태 경제전문가blue-check
    류경태 경제전문가22.09.24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한국금리는 미국보다 낮아야하는 이유가 없습니다. 지금은 한국금리가 미국보다 높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올리수 없는 상황 때문에 한국의 기준금리가 미국의 기준금리보다 낮은 상황입니다. 그 이유는 현재 한국의 가계부채와 기업부채가 2022년도 1분기 기준으로 1,240조원 기업의 경우는 2,490조원(신용여신만)으로 금리를 0.5%를 올리게 되어도 연간 이자가 12조원이 증가하게 되며 개인의 경우는 변동금리 비율이 82%로 금리인상에 매우 취약한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금리를 빠르게 올리게 되는 경우 개인의 심각한 부실율이 우려되어 금리를 인상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2.한국금리가 미국보다 높을 경우에는 원화의 강세 즉 환율이 하락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는 경우에는 수입원자재 가격이 하락하게 되어서 우리나라에 공급되는 물건가격이 떨어지게 되며 인플레이션 억제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출기업의 경우는 단기적으로는 수출가격 경쟁력 하락으로 인해서 수출실적이 감소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생산원가 절감으로인해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좋은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A라는 국가는 규모도 작고 전쟁리스크가 있습니다. B라는 회사는 규모도 A회사에 비하여 몇배나 더 크고 세계 최고의 강대국입니다.

    대한민국보다 미국이 더 큰 이자율 등을 보장한다면 굳이 위험을 무릎쓰고 대한민국에 투자를 할 이유가 없기때문에

    통상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금리가 낮아야 하며

    2. 우리나라 금리가 미국보다 높아야 어느정도 합리적인 경제상황이라고 보시면 되며

    미국보다 낮을 경우 외인자본이 급격하게 이탈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신 질문에 대해서 아래 간단하게 답신을 드리겠습니다.

    1.한국금리가 미국보다 왜 낮아야하나요?

    > 한국 기준 금리가 미국보다 높아야 한다거나 낮아야 하는 근거나 이유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저개발국가의 금리는 사업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금리가 높고 미국, 한국 등 선진국에 속하는 국가의 금리는 반대로 낮습니다.

    현재 미국의 기준 금리가 금주 0.75% 인상으로 한국의 2.5%보다 인상한 폭만큼 미기준 금리가 더 높아졌습니다. 미국의 경우 기축통화를 가지고 있고 과거 1970년대 중후반의 고물가에 따른 스테그플레이션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고 당시에도 금리를 급격히 올려 20% 내외까지 오른 사례가 있습니다. 그만큼 대표적인 소비 국가인 미국은 물가 상승에 매우 민감합니다.

    반면 한국의 경우 다음달 금통위에서 0.25% 인상 기조를 넘어선 0.5% 인상이 거의 확정적인데 이는 한국 금융 시장의 특이성 때문에 급격한 금리 인상은 개인파산 급증과 기업 부담이 매우 가중됩니다. 집담보 대출 등 가계부채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입니다.

    즉, 금리는 각국이 처한 상황에 따라 운영하는 게 답이라면 답입니다.

    2.한국금리가 미국보다 높을 경우와 낮을 경우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 달러 가치 급등의 이른 바 '킹 달러' 현상은 글로벌 하게 진행 중이며 이는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과 인과관계가 큽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자국 내 인플레이션을 제어할 목적이 1순위이나 대외적으로 타국가들은 압도적인 기축통화인 미달러 매입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경기침체 가능성, 미국 금리 인상은 안전자산 선호 현상을 부르며 현재 미국 달러와 달러표시 자산 이외에 안전자산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미달러 대미 원화 환율 급등(=평가절하, 통화 가치 하락)은 현대차 등 수출 기업이나 달러로 매출을 결재 받는 기업에는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그러나 에너지, 곡물 등을 주로 수입하는 한국의 경우 수입 물가에 악영향을 끼치고 수입 원자재 비중이 큰 기업 또한 수익성에 악영향을 받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연준이 이번에 자이언트급 금리인상을 하면서 0.75%역전차가 발생하였습니다.이는 외인자본이탈이 발생될 가능성이 크기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이를 방어하기위해서 금리인상을 단행하는것이죠,,그러나 금리인상은 가계대출부담등으로 이어지기에 이를 고려한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상이 있을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