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23.04.28

피라미드속 미라는 어떻게 긴 세월동안 보존 될 수 있었나요 ??

피라미드에 가면 미라가 있는데.

어떻게 사람을 미라로 만들었는데 썩지 않고 오랫동안 보존 보관이 되어 있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요즘이야 방부제가 있지만.. 먼 옛날에도 방부제가 있었나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들의 시체가 잘 보존된 이유는 피라미드 내부의 환경과 시체에 가해진 가공 때문입니다.

    피라미드는 건축적으로 매우 견고하게 지어졌습니다. 특히 내부 공간은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있어서 공기의 순환과 습기의 유입이 어렵습니다. 이러한 환경은 시체의 분해를 방지하고 보존을 돕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또 고대 이집트인들은 시체를 미라의 영혼이 부활하여 다시 살아나게 될 것이라는 신앙에 따라 시체를 보존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시체의 내장을 모두 제거하여 다른 그릇에 옮겨담아 부패하기 쉬운 부분을 제거 하고 향유로 몸속을 청소해 살균을 하는 것 등이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대 이집트인들이 미라를 만들기 위해서 사용한 소금이 수분을 제거하고 방부제의 역할을 해줬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입니다. 정확히는 소금이 아니라 탄산수소나트륨입니다.

    우선 시신의 뇌와 장기를 모두 제거합니다. 제거 방법은 생략하겠습니다. 비워진 두개골과 복강은 깨끗이 씻어냅니다. 그 후 심장 만은 특수처리 후 다시 안에 넣고 복강의 빈 공간을 몰약, 송진, 계수나무, 향신료 등으로 채우고 향유와 술로 시신을 씻어냅니다. 시신을 나트론이라는 소다석(탄산수소나트륨)에 파묻어 수분을 빼줍니다. 나트론은 수분을 제거하면서 피부조직을 단단하게 해주고, 박테리아 제거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염장을 마친 시신은 냄새 제거를 위해서 송진과 향유를 바르고 붕대로 감싸서 관 속에 넣게 됩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미라가 수천년이 지나도 잘 보존되어서 현대에도 DNA검사 등이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어떻게 그 원리를 알게 된 것인지 모르지만 매우 대단한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피라미드 속 미라가 오래도록 보존된 이유는, 피라미드가 건축된 시기에 사용된 돌의 특수한 성질과, 미라의 매장 장소와 방식 때문입니다.

    피라미드는 건축된 시기에 사용된 돌이 굉장히 튼튼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돌은 시간이 지나도 변색이나 부식 등이 일어나지 않고,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습니다.

    또한, 미라의 매장 장소와 방식도 미라를 오랫동안 보존하는 데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피라미드는 매우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라를 안치는 곳은 바깥쪽 석조실이 아닌, 내부에 위치한 비밀스런 곳으로, 자연적인 온도와 습도 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피라미드 속 미라는 수천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거의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미라를 만드는 과정에서 심장을 제외한 뇌와 내부 장기를 모두 꺼내어 카노푸스 단지에 따로 담은 후 몸에 천연 탄산소다를 덮어 40일간 말리고, 강물로 씻고 몸속에 톱밥, 나뭇잎, 천 조각 등을 넣고 기름을 바른 후에 아마포라는 천으로 감아 미라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수분은 다 말려서 세균 번식을 억제하고, 내장기관을 빼고 썩지 않는 톱밥이나 나뭇잎을 채워서 미라가 부패하지 않게 한 것으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