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꿀벌4590
꿀벌459023.08.29

세계 바다가 조금씩 색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나라만해도 서해와 동해 남해 조금씩 다르고 지중해 흑해 조금씩 다르잖아요

바다 색깔이 어떤이유로 그렇게 다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바다의 색깔은 크게 두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첫째, 빛의 흡수입니다. 빛은 파장이 길수록 물에 더 깊이 침투합니다. 파장이 긴 빛은 적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순으로 짧아집니다. 따라서, 파장이 긴 적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은 수면 가까이에서 흡수되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은 수심이 깊어도 더 많이 남아있게 됩니다. 따라서, 바닷물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둘째, 물 속의 물질입니다. 물 속의 물질은 빛의 흡수와 산란을 일으킵니다. 물 속의 플랑크톤, 조류, 유기물 등은 빛을 흡수하고 산란시켜 바다의 색깔을 변화시킵니다. 예를 들어, 홍수나 태풍 등으로 인해 영양분이 풍부해진 바다는 플랑크톤이 대량으로 번식하여 바다의 색깔이 녹색이나 갈색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두 가지 요인에 의해, 바다의 색깔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서해는 황해와 접해 있어 영양분이 풍부하여 갈색이나 녹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 동해는 해양 생태계가 다양하여 파란색이나 에메랄드빛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지중해는 염도가 높아서 파란색으로 보이며, 흑해는 염도가 낮고 유기물이 풍부하여 갈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요인들도 바다의 색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수온 : 수온이 높을수록 파란색이 더 많이 남아있게 되어 바다가 더 짙은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 해저 지형 : 해저 지형이 복잡할수록 바닷물의 흐름이 달라져 빛의 흡수와 산란이 일어나 바다의 색깔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대기 : 대기의 상태에 따라 빛이 산란되어 바다의 색깔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름이 많거나 햇빛이 강할 때는 바다가 더 밝게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면, 바다의 색깔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색깔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물의 투명도입니다. 물의 투명도는 물에 포함된 빛의 흡수량에 의해 결정됩니다. 파장이 긴 빛은 파장이 짧은 빛보다 더 잘 흡수됩니다. 따라서, 파장이 긴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의 빛은 물에 의해 많이 흡수되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 녹색, 보라색의 빛은 물에 의해 적게 흡수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깨끗한 바다는 파란색을 띠게 됩니다. 깨끗한 바다는 물에 흡수되는 빛의 양이 적기 때문에 파란색의 빛이 더 많이 반사되어 우리 눈에 보이게 됩니다. 반면, 탁한 바다는 녹색, 갈색, 황갈색 등의 색을 띠게 됩니다. 탁한 바다는 물에 흡수되는 빛의 양이 많기 때문에 파란색의 빛 외에도 다른 색의 빛도 많이 흡수됩니다. 따라서, 우리 눈에 보이는 빛은 파란색 외에도 다른 색의 빛이 섞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색은 햇빛이 바닷물에 산란되며 결정됩니다.

    또한 바닷물에 포함된 부유물이나 박테리아, 그리고 낮은 수심에서는 바닥의 진흙과 모래에 의해 결정되기도 합니다.

    즉, 주변 육지에서 흘러들어오는 것들에 따라서도 바다의 색은 달라질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깊이와 투명도: 바다의 색은 물의 깊이와 투명도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깊은 바다는 푸르게 보일 수 있고, 얕은 해안 지역은 녹색이나 갈색이 강조될 수 있습니다. 투명한 물일수록 푸른 색이 강조되며, 부유물질이나 해양 생물 등이 물에 혼합되면 다른 색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9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색상은 물의 깊이에 따라 변화합니다. 얕은 해역에서는 햇빛이 해저로 반사되어 밝고 청명한 푸른색을 나타내며, 깊어질수록 물체와 섞여 있는 물질들에 의해 흡수되는 스펙트럼 중에서 파란색과 초록색이 점차 사라져서 어두운 파랑색으로 변합니다. 바다에는 부유하는 다양한 물질들이 존재합니다. 식물성 플랑크톤, 해조류, 부유성 알갱이 등은 자신만의 색소를 가지고 있어 바다의 색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플랑크톤 중에서 크로노박테리아라는 작은 식물성 생물체가 대량으로 번식하면서 붉은 혹은 갈색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해안 근처에서 바닷물은 주변 지형과 지반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모래나 해초와 같은 지형 요소, 그리고 강 유입 때문에 많은 부유성 입자가 포함된 경우 등도 색상 차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태양광 조건 역시 바다의 색상에 영향을 줍니다. 날씨 상태나 시간대별로 태양광 세기와 방출 스펙트럼이 달라져서 인간이 인식하는 바다의 색깔도 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