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짱기이즈백
짱기이즈백22.12.07

빙하가 녹으면 왜 안좋은건가요?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계속 녹고 있다는데요. 아직도 엄청난 양의 빙하가 있는것으로 보이는데요. 빙하가 녹으면 어떤부분이 문제가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연 과학전문가입니다.


    크게 두가지의 문제점이 발생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첫째, 앞서 말씀하신 분들의 내용과 동일하게, 해수면이 낮은 지형들은 물에 잠기게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이스 커피를 다 마시고 얼음이 남은 상태로 놔두면 그 얼음은 물로 변하는데

    이와 같이 빙하도 물로 변하게 되어 그만큼 해수면이 높아지게 된다 이해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둘째, 빙하가 녹는 다는 것은 지구의 온도가 따뜻해 젔다는 의미입니다. 지구는 위도에 따라 온도 편차가 발생되며 이 온도 편차가 대류를 만들어 특정바람을 생성합니다. 기상 이온으로 인한 지구의 온도가 따뜻하게 될 경우 현재와 다른 날씨가 많이 발생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점점 높아집니다

    그렇게 되면 저지대는 침수되게 되어 안좋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동남아에 있는 섬이 절반은 바다에 잠기게 됩니다. 그리고 해안가에 있는 도시는 절반은 없어집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기상이변이 계속 일어날 겁니다. 태풍은 심각한 기온차가 나는 곳에 일어나기 쉽기때문에 빙하가 녹는다면 나비효과로 수 많는 곳에 온도차가 극심하게 날겁니다. 그러면 태풍 폭염 한파 등 여러가자 기상이변이 계속 일어나면서... 재앙을 만나게 되는 겁니다. 그러므로 지구온나화를 막기위해서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 지구온난화로 인해 남극 빙하가 다 녹으면 가장 큰 이슈는 해수면의 상승합니다.

    따라서 해변 근처의 도시부터 점차 침수될 것입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과거에 존재했던 미지의 바이러스입니다.

    이 바이러스들은 현재 빙하에 냉동된 상태로 존재하다가, 해동된 후 활동을 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미지의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 없을 것이므로, 현재 코로나와 같이 전 세계에 유행병이 번지게 됩니다.

    따라서 빙하가 녹아서 생길 때 가장 심각한 문제는 전염병 창궐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빙하가 녹는것이 지구 온난화의 대표적인 문제입니다. 빙하가 녹으면 수위를 상승시키고 수온을 높힙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빙하속에 뭍혀있던 바이러스등이 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