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22.04.20

아이들에게 안전교육을 시켜줄 수 있는 나이가 어느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이에게 화재대피교육이나, 도로교통안전같은 안정교육을 시켜주었을때,
보통 잘 기억하고 실습을해서 체득할 수있는 나이가 몇살정도이면 가능한가요?
실제로 학계에서 추천하는 나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07.11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유아기에도 교통안전 교육은 가능합니다. 동영상으로 여러 상황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아이가 안전에 대하여 인식하는 나이는 초등학교에 입학할때쯤이라고 생각이드네요 물론 아이들마다 편차가 있기때문에 유의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에서는 0세반 간난아이도 잠깐이라도 집중하는 시간에 안전교육을 실시합니다.

    아직 너무 아가일때는 자세한 설명은 배제하고 예를 들면 뜨거운 고구마를 만지려고 하는 모습이면 " 아뜨..아야해요. 안돼요.안돼!!" 단호하게 안된다고 말해줍니다. 안전교육은 아이의 연령에 맞게 아이의 집중 도를 고려해서 수시로 실시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안전교육은 참 중요하지요. 생명과 직결되는 부분이니까요.

    보통은 어린이집에서도 4~5세가 되면 안전교육을 합니다.

    일반적인 안전교육 체험관의 경우에는 만4세이상 또는 5세이상의 유아부터 시작합니다.

    5세는 되어야 대화와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재미있는 안전교육 도서로 즐겁게 간접적으로 이야기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안전교육이란 어릴때부터 자연스럽게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꼭 나이를 특정 지을 필요 없이 아이가 이해를 하는 정도면 언제든지 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화재 대피는 불이 났을 때의 위급한 상황이므로, 평소 아이와 자주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의 대처방법을 이야기 해주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안전교육 시기는 유아기가 최적의 시기 입니다 이 시기에 형성된 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기능은 전 생애를 걸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아의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강조 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유치원에 들어갈 나이 그러니깐 적어도 5-6세 정도는 되어야

    그러한 것들을 받아들일 수 있는 나이입니다

    때문에 이정도에 안전교육등을 시켜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안전교육을해주는것은 어느정도 인지가 가능할때부터 해주면 좋습니다.

    대략적으로 아이가 만3세가 지나면 어느정도 받아들이고 수용할수있는 나이가 됩니다.

    이때 너무 어렵지 않게 쉬운 범위부터 조금씩 이러한 것을 지속적으로 알려주면 도움이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안전교육 및 도로교통 안전교육을 해야하는 나이는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보통 3세 이후에 도서나 영상 등을 통해 교육을 시도하고는 합니다. 이는 3세를 전후로 아이가 말귀를 알아들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에선 1살부터 안전 교육을 매주 한번, 소방 대피 훈련은 매월 한 번씩 정기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물론 아가들은 선생님들이 안고 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보통 4살 정도의 아이들은 어린이집에서 받은 안전 교육을 집에 와서도 놀이처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안전을 위한 교육이기 때문에 어릴수록 안전관련 동화를 자주 읽어 주는 것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