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영원한염소218
영원한염소218
23.04.18

지난번 뉴스에서 봤는데요 심해에 사는 물고기?

세상은 넓고 참신기한게 많은것 같네요.

엄청난 압력일텐데 심해 8천미터아래에 어떻게 가능한걸까요? 꼼치와 유사한 슈돌리파리스 벨예비 (Pseudoliparis belyaevi)가 헤엄치는 모습을 포착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23.04.18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에도 생물이 살 수 있도록 먹이가 잇을것이고

    심해의 압력과 태양빛이 없는것에 적응만 한다면 생물이 살 수 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이러한 물고기들은 심해에 적응한 생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깊은 심해에서는 물압이 매우 높기 때문에 물고기들은 몸을 지탱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기 위해 뼈 대신 지느러미나 연골 등을 이용하여 몸을 구성합니다. 또한, 어두운 심해에서는 시력보다는 후각이나 전기 감지 등 다른 감각기관을 이용하여 먹이를 탐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에서 물고기들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광원과 압력에 대한 적응입니다. 물고기들은 자체 발광 능력이나 몸의 색깔, 패턴을 사용하여 빛을 활용하거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