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밤하늘에 떨어지는 별똥별은 뭔가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유성을 만드는 알갱이를 유성체라고 하며, 별똥별은 천문학 용어로 유성이다. 유성체는 태양계 내에서 임의의 궤도를 배회하고 있는 소행성보다 작은 고체 천체로, 작은 소행성의 크기로부터 행성 간 티끌(∼1μm)에 이르기까지 그 크기가 다양하다. 유성체가 지구대기층에 들어올 때 공기 분자와의 마찰로 가열되면서 빛을 내게 되는데 이를 유성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약 120km에서 빛을 내기 시작하며, 그 속도는 11km/s~72km/s로 큰 폭을 갖는다고 합니다.
유성이란 흔히 말하는 별똥별을 뜻한다. 이 유성은 혜성,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티끌, 또는 태양계를 떠돌던 먼지 등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기 안으로 들어오면서 대기와의 마찰로 불타는 현상을 말한다. 하루 동안 지구 전체에 떨어지는 유성 가운데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수없이 많으며, 유성이 빛을 발하는 시간은 1/수십 초에서 수 초 사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