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통쾌한다슬기196
통쾌한다슬기19623.10.27

알레르기를 치료 할수가 있나요?

나이
40
성별
남성

부루펜 계열에 알레르기가 몇년전부터 생겼습니다.

갑자기 생겨서 당황스럽니다만

이 알레르기를 치료할수가 있나요?

방법이 있다면 시도해 보고 싶어서요.

주로 알레르기 반응은 눈 결막염 ,코막힘으로 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는 완치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부루펜 계열의 약은 피하고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약만 사용하면서 지켜 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알레르기를 완치하기는 어렵습니다. 어떤 항원에 대한 체질적 반응이기 때문이 그렇습니다. 면역치료를 통해 완치를 기대할수 있으나 면역치료가 가능한 항원은 상당히 한정적입니다.

    현재로서는 약물을 피하는 방법이 최선이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 알러지는 선천적으로 타고 나서 어렸을 때에 없으면 커서도 발생하지 않는 질환이 아니며 후천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알러지는 알러지 항원에 노출되면 몸에서 감작이라고 부르는 과정을 통해서 몸에 각인이 되어 발생하게 됩니다. 감작이 발생한 이후에는 추가적인 노출이 될 경우 노출될 때마다 두드러기,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 감작 과정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은 이론적으로 이 세상의 그 어떤 것이라도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에 별다른 문제 없이 섭취를 해 왔거나 노출이 되어왔던 물질들 중에서도 갑작스럽게 감작이 되어 알러지가 발생하는 경우도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는 원인 물질을 모르는 경우도 과반수 이상 많습니다. 아쉽지만 현대의 의학 기술로는 아직까지는 알러지 항원을 확실하게 임의적으로 탈감작을 시킬 방법이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물질을 최대한 조심하고 회피하여 증상 발생을 예방하고, 만약 증상이 발생한다면 항히스타민제 등 약물을 복용하며 증상을 조절하는 대증적인 치료를 하며 관리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최선의 치료법입니다. 자연스럽게 탈감작이 되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관리를 잘 하면서 탈감작이 이뤄질 수 있도록 기다리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