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라이팅'에 대해 알려주세요.
'가스라이팅'의 의미와 '가스라이팅'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가스라이팅이 먼 이야기인줄 만 알았는데 가까운 곳에도 있는 것 같더라구요.
- 제가 조사해본 결과 가스라이팅은 상대방을 괴롭히고 조종하는 방식의 정신적 학대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스라이팅을 하는 사람은 자신의 행동을 부정하거나 숨기려고 하며, 상대방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자신의 의도대로 행동하도록 유도합니다.
가스라이팅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거짓말: 상대방을 혼란스럽게 만들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경우
- 정신적 격리: 상대방을 가족, 친구, 사회에서 격리시키는 경우
- 무시: 상대방의 의견이나 감정을 무시하고 대화를 하지 않는 경우
- 비판: 상대방을 비난하고 비판하는 경우
- 자신감 저하: 상대방을 자신감 없게 만들고 자존감을 저하시키는 경우
가스라이팅은 정신적 학대로 인정되어 있으며, 심각한 정신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당신이나 주변 사람이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다고 의심된다면, 상황을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도움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황이 심각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톰아저씨크루즈여행입니다.
가스라이팅 가해자는 피해자의 기억을 지속적으로 '반박'하거나 실수를 과장하는 왜곡을 통해 피해자가 스스로를 의심(‘전환’)하게 만든다. 또 피해자의 요구나 감정을 하찮게 여기거나(‘경시'), 실제로 발생한 일을 잊은 척 하거나 부인하는(’망각’) 행위를 지속한다. 예컨대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당신 말은 틀렸어.", "너의 기억은 잘못된 거야.", "너는 너무 예민해.", "네가 문제라는 걸 모르겠니?" 등의 말을 반복해 피해자가 자존감과 판단 능력을 잃게 만든다. 여기에 피해자의 말을 듣기 '거부'하고, 피해자의 생각을 '무시'한다. 이러한 행위가 점진적으로 이어지게 되면 피해자는 가스라이팅에 익숙해지면서 가해자의 생각에 동조하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모든 것을 의심하게 되면서 자존감이 점차 낮아지며, 스스로 정확한 판단을 내리는 능력을 상실하게 되면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이 과정에서 가해자는 피해자를 사회적으로 고립시키게 되고 피해자는 이로 인해 우울증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최악의 상황에서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기도 합니다.
정신분석가이자 심리치료자인 로빈 스턴은 2008년 저서 《가스등 이펙트》를 통해 가스라이팅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왜곡과 진실을 구분하기 ▷상대방과의 대화가 소위 '밀당(밀고 당기기)'이라면 피하기 ▷옳고 그름 대신 '느낌'에 초점 맞추기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