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창백한원숭이162
창백한원숭이162

요즘 하늘에 뭉게 구름이 너무 예쁘던데 질문입니다.

어떻게 수증기는 똑같은데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은 각양각색일까요?구름마다 모양도 다르고 말이죠 이게 수증기의 양에 따라서 각자 다른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리 눈에 보이는 구름의 다양한 모양은 수증기의 양 때문에 기온, 대기의 안정도, 바람, 고도, 수분 공급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구름은 공기 속 수증기가 응결하며 생긴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의 집합체로서 수증기 자체는 보이지 않지만 응결되면 빛을 산란시키며 하얗고 뚜렷한 모습으로 나타나게 됩니다.구름의 모양이 다른 이유는 대기의 불안정도(불안정한 공기일수록 공기가 위로 활발히 솟구치며 수직으로 크게 발달함), 수분의 양과 응결 높이(수분이 ㅁ낳고 공기 상승이 충분하게 되면 두꺼ㅃ고 밀도가 높은 구름을 형성),바람과바람의 영향(바람이 강한 지역에 구름이 길게 찢기거나 퍼지거나 깃철터럼 날리게 됨),상승기류의 방식, 시간과 진화 과정등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