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역사속 초상화는 인물의 표정이 다 무표정인 이유가 있을까요?
우리나라의 초상화와 서양의 초상화를 비교해보면 서양쪽은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섞여서 표현이 되는데 반면에 우리나라의 초상화속 인물들은 하나같이 감정이 없이 무표정입니다. 이런 특별한 이유가 존재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초상화, 특히 조선시대에 그려진 초상화에는 크게 두가지 방법론이 있기 때문입니다
전신사조 / 일호일발 이란 내용이 있습니다
전신사조 란 말은 초상화를 그릴때 인물의 외형 뿐 아니라 인격과 내면세계까지 표출 해야 한다는 의미 입니다
그래서 초상화를 그릴때 외형 묘사보다 내면세계를 드러내는게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일호일발 이란 의미는
터럭 하나까지도 똑같아야 한다는 의미 입니다.
얼굴의 잡치, 눈썹, 수염의 터럭 하나까지도 꼼꼼하게 묘사해야 한드는 조선의 초상화론 입니다
왜냐하면 조선시대의 초상화는 위와같은 엄격한 형식을 갖고 있었고
당시에 초상화 자체가 지위와 결합될 경우 사회적 영향력이 강했기 때문에 초상화 속 사람을
숭배하거나 신격화 할 수 있었으므로 초상화 자체를 자주 그리지도 않았고
종묘나 사당 안에 두어 일반인은 쉽게 볼수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왕의 초상화(어진)은 공적인 사업으로 진행되었을 정도이고
왕의 제외한 사람의 초상화는 뛰어난 업적을 가진 선비나, 열녀 같은 극소수의 사람을
대상으로만 초상화를 그렸습니다.
그정도로 초상화 자체를 업격하게 통제해서 제작했기 때문에
초상화의 대상이 되는 사람 역시 초상화의 영향력을 생각해 엄숙하고 진지, 근엄한 표정으로
그려질 수 밖에 없었습니다
과거 공부했던 기억을 끄집어내어 작성하다보니 글이 어려울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길 빌고 긴 답변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초상화는 서양의 초상화와는 달리 무엇인가를 기념 하고 즐거운 기억을 남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보통 살아 생전의 모습으로 제삿상에 올리는 지금 오르 따지면 상중에 쓰이는 사진 역할을 한 것 입니다.그래서 대부분 무표정 하거나 엄숙한 분위기의 그림을 그리게 된 것 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