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반듯한매미13
반듯한매미1323.01.19

추억으로 묻혀버린 포장마차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불과 십여 년 전만 하더라도 길거리에 포장마차가 상당히 많았는데 이제는 거의 추억이 되는 것 같습니다 별로 찾아볼 수가 없더라구요 이런 포장마차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포장마차는 어느시대 어느때고 있었습니다.

    서울에서 일제 강정기로 일본인들이 대로변에서 장사를 하던 시기부터 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사에 따르면 포장마차의 유래는 확실치 않지만 1950년대 손수레에 광목천을 두른 노점상에서 간단한 안주와 소주를 팔며 시작됐다고 합니다.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RY9LQZ2TA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포장마차는 단어 그대로 이동수단인 마차에 포장을 한것입니다.

    서부개척시대 일가족이 장거리 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황무지, 사막 등을 이동하는데 편의를 위해 천을 덮어씌운것이며, 버번위스키와 함께 개척시대의 상징이므로 미국 서부 개척시대를 소재로 하는 것에 자주 등장합니다.

    또 다른 뜻으로는 설치와 철거가 비교적 쉬운 간이 먹거리 판매대를 의미합니다.

    기원은 밝혀진것이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요즘은 포장마차 보기가 참 힘들죠 가격도 많이오르고 찾기도 힘들고

    포장마차의 역사는 해방이후부터 생겨나 지금까지도 계속적인 인기와 명맥을 이어온 장수업종의 하나로서 주머니 돈이 부족한 서민층의 애환을 달래주는 주점이었습니다.
    50~60년대 청계천 등지에서 광목으로 윗도리만 겨우 가린 채 당시 흔했던 참새를 구어 잔소주(잔으로 팔던 소주)를 팔던 포장마차는 70년대에 접어들며 요즘의 모습과 비슷해졌습니다.
    70년대 포장마차의 주메뉴 중 술은 소주(주로 잔으로 팔았음)와 병막걸리(막걸리를 맥주병에 넣은 것으로 카바이트술이라고 했다)였고, 맥주는 80년대에 들어와 팔았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안주는 참새구이, 닭발구이, 간천엽(운이 좋을 때), 삶은 오징어, 소금뿌린 꽁치구이, 북어양념구이 등이었고 오이와 당근 약간은 무료였습니다. 오뎅이 있긴 했지만 요즘의 어묵이 아니라 당시 덴뿌라라고 하여 납작한 모양의 것을 어슷하게 잘라 꼬지로 끼웠습니다. 돼지갈비 등 육류는 80년대에 출현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요깃거리로는 삶은 달걀과 우동(국수에 오뎅국물을 부어 줌)이었고 라면은 80년대에 들어서 끓여주기 시작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포장마차는 해방이후부터 생겨나 지금까지도 계속적인 인기와 명맥을 이어온 장수업종의 하나로서 주머니 돈이 부족한 서민층의 애환을 달래주는 주점이었습니다.


    50~60년대 청계천 등지에서 광목으로 윗도리만 겨우 가린 채 당시 흔했던 참새를 구어 잔소주(잔으로 팔던 소주)를 팔던 포장마차는 70년대에 접어들며 요즘의 모습과 비슷해졌습니다.


    70년대 포장마차의 주메뉴 중 술은 소주(주로 잔으로 팔았음)와 병막걸리(막걸리를 맥주병에 넣은 것으로 카바이트술이라고 했다)였고, 맥주는 80년대에 들어와 팔았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안주는 참새구이, 닭발구이, 간천엽(운이 좋을 때), 삶은 오징어, 소금뿌린 꽁치구이, 북어양념구이 등이었고 오이와 당근 약간은 무료였습니다. 오뎅이 있긴 했지만 요즘의 어묵이 아니라 당시 덴뿌라라고 하여 납작한 모양의 것을 어슷하게 잘라 꼬지로 끼웠습니다. 돼지갈비 등 육류는 80년대에 출현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요깃거리로는 삶은 달걀과 우동(국수에 오뎅국물을 부어 줌)이었고 라면은 80년대에 들어서 끓여주기 시작했습니다.


    조명은 카바이트병에 물을 넣어 나오는 가스로 불을 밝히던 카바이트불이었는데 쉭쉭하며 타는 소리가 재미있었습니다. 전등이 가설된 것은 80년대들어 한참입니다.



    -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제가 이야기한 곳은 동대문 밖이었고, 시내는 조금 달랐겠지요. 대학교 앞에서는 안주를 한 가지만 한 곳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연대 철교밑에 있던 포장마차에서는 의자도 없고 양념한 갑오징어만 철판에 지져 팔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