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반려동물

반려동물 건강

무병장수양이
무병장수양이

고양이 땅콩에 갈색 이물질이 있어요.

반려동물 종류
고양이
품종
코리안숏헤어
성별
수컷
나이 (개월)
9살
몸무게 (kg)
7.2
중성화 수술
1회

고양이 소변보는 구멍주변에 저렇게 갈색 딱지? 이물질?같은게 묻어있는데 소변보고 나서 감자에는 혈뇨흔적은 없고 뭘까요?위험한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양이 생식기 주변에 갈색 이물질이 보이는 경우,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 동물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갈색 분비물이나 딱지는 감염이나 염증, 또는 다른 질환의 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소변 상태와 상관없이 수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자가 판단으로 해결하기보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상윤 수의사입니다.

    말씀하신 고양이의 생식기 주변 갈색 딱지나 이물질은 비교적 흔한 소견이며, 원인에 따라 양성인 경우부터 염증성 질환까지 다양하게 구분됩니다. 우선 혈뇨가 동반되지 않았다는 점은 급성 요로출혈 가능성을 낮춰 주지만, 소변 배출구 주변의 분비물, 오염, 염증 잔여물 등은 확인이 필요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소변 잔여물의 건조, 요색소 침착, 혹은 소변 후 자기 그루밍이 불완전할 때 생기는 결정성 침착물입니다. 수컷 고양이에서는 귀두(음경) 표면의 분비물이나 잔여물이 건조되며 갈색이나 황갈색의 얇은 막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이 경우 냄새가 강하지 않고, 눌러도 통증이나 붓기가 없으며, 다음날 자연스럽게 떨어진다면 생리적 분비물에 가까워 특별한 위험은 없습니다.

    반면 딱지 주위에 붉은 발적, 부종, 통증 반응, 반복적인 그루밍, 소변 시 불편감이 동반된다면 포피염, 요도염, 세균성 피부염 등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포피 내부에 소변이 고이거나 요도 입구에 세균이 증식하면 진득한 분비물이 갈색으로 변하며 냄새가 나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장모묘의 경우 털에 묻은 소변이 마르며 착색된 경우도 많으므로, 털 정리와 청결 유지가 중요합니다.

    자택에서는 미온수나 생리식염수에 적신 거즈로 부드럽게 닦아내고, 소독액이 있으신 경우, 포비돈 1% 용액이나 클로르헥시딘 0.05% 희석액으로 하루 1회 정도 가볍게 소독해 보시길 권합니다. 다만 딱지가 반복되거나, 냄새, 발적, 통증, 소변 횟수 변화, 잦은 그루밍이 함께 관찰된다면 요로계 감염이나 결석의 초기 신호일 수 있으므로 내원하여 요검사 및 신체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요약하면, 혈뇨 없이 단독으로 나타나는 갈색 딱지는 대부분 건조된 분비물이나 소변 착색물일 가능성이 높지만, 염증 소견이 동반되면 요도염, 포피염 등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습니다. 청결 유지 후 경과를 보시되, 변화가 지속되면 반드시 검사를 통해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감사합니다. 추가 문의 사항 있으신 경우 댓글 적어주세요.

    추가로, 정확한 원인 확인과 치료 방향은 반드시 내원하여 수의사에게 직접 진찰과 상담을 받으셔야 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