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날개 없는 지역 까마귀 123
날개 없는 지역 까마귀 123
22.12.25

염화칼슘과 눈과 어떤 반응을 하나요?

눈이 오면 염화칼슘을 뿌리는데 눈과 염화칼슘은 화학적으로 무슨 반응을 하는것인가요? 그원리와 이유를 설명 부탁 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22.12.25

    제설제 = 염화칼슘을 이용해 어는점 내림 효과를 내기 위해서 입니다.

    물은 0도 이하에서 얼지만, 염화칼슘으로 인해 그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얼게 됩니다.

    염화칼슘을 충분히 섞으면 영하 50도 이하에도 얼지 않고 얼음을 녹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화학적으로 반응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박사입니다.

    염화칼슘은 일반적으로 도로, 보도 및 기타 표면의 눈과 얼음을 녹이는 제빙제로 사용되는 화합물입니다. 눈이나 얼음에 바르면 주변 공기의 수분을 끌어당겨 용해시켜 소금물을 만든다.

    이 소금물 용액은 순수한 물보다 어는점이 낮기 때문에 어는 온도를 낮추어 눈과 얼음을 녹일 수 있습니다. 염화칼슘이 눈이나 얼음에 적용될 때 일어나는 화학 반응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CaCl2 + H2O -> Ca(OH)2 + 2HCl 이 반응에서 염화칼슘(CaCl2)은 물(H2O)과 반응하여 수산화칼슘(Ca(OH)2)과 염산(HCl)을 생성합니다.

    이 반응에서 생성된 염산은 염화칼슘 특유의 톡 쏘는 냄새를 내며 용액의 어는점을 낮추는 역할도 합니다. 염화칼슘의 제빙 작용의 원리는 용질(염화칼슘)이 얼음이나 눈보다 물에 대한 친화력이 더 강하다는 사실에 근거합니다.

    그 결과, 물에 끌어당겨 용해되어 어는점을 낮추고 얼음이나 눈을 녹일 수 있습니다. 제빙제로서의 염화칼슘의 효과는 온도, 습도, 적용되는 눈이나 얼음의 유형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12°C(10°F) 미만의 온도에서 가장 효과적이며 더 높은 온도나 습한 조건에서는 덜 효과적입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비교적 순수하고 먼지나 기타 오염 물질이 없는 눈과 얼음을 녹이는 데 더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오염 물질은 염화칼슘의 제빙 작용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염화칼슘은 대표적은 흡습제입니다.

    염화칼슘이 주변의 습기를 흡수하면서 열을 발산하는데,
    이 열에의해 주변 눈과 얼음이 녹게됩니다.

    녹은 물은 다시 주변 염화칼슘과 반응하여 열을내고, 이러한 과정을거쳐
    눈과 얼음이 빠르게 녹아버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