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가루형태의 약은 알약을 빻아서 만든 건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24

안녕하세요!

약 중에서는 가루형태의 약도 있잖아요?

이 가루 형태의 약은 알약을 빻아서 만든 같은 성분의 약일까요?

몸에 흡수가 더 빠르고 잘 되는 것은 어떤 형태의 약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송정은 약사
      송정은 약사
      나은약국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정제를 빻아서 나온 제형이 가루약일 수도 있으며 처음부터 가루약 형태로 만드는 제품도 있으며 가루약이 입자가 정제에 비해 곱기에 체내 흡수 속도는 더 빠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가루형태로 제조되는 경우도 있고 약국에서 알약을 가루형으로 조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성분, 함량이 동일하다면 효능, 효과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나

      가루약의 경우 표면적이 커서 흡수가 더 빠르게 일어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같은 성분입니다. 다만 알약으로 만들었을 때는 알약을 코팅하거나 특수 처리를 하여 서방정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성분은 같지만 약이 대사되는 속도 및 흡수에 영향을 줄 수 있게끔 만듭니다.

      단순히 몸에 흡수가 더 빠른 것은 가루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알약을 만들 때 원료약은 가루형태입니다

      그러므로 가루 형태의 약은 알약을 빻아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원료약 자체가 가루고요

      가루와 알약의 몸 흡수 속도는 비슷해요 가루가 더 빠르고 잘 되는 것은 아닙니다 - 큰 차이 없어요

    • 안녕하세요.

      아예 가루로 나오는 약도 있긴한데 대부분은 정제를 분쇄해서 만듭니다. 당연히 붕해과정이 없기 때문에 흡수는 가루약이 더 빠르지만 정확한 용량을 먹기 힘들다는 점, 쓴맛으로 순응도가 떨어진다는 점 때문에 가능한 알약이 낫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가루형태로 원래부터 나오는 약도 있으며 정제를 나누어서 투약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약물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

      제조단계부터 분말이나 과립으로 나오는 약물이 있고,

      처방전에 따라 알약이나 캡슐을 가루로 조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약보다는 가루약이 표면적이 크므로 흡수가 조금 더 빠를 수는 있지만 큰 차이는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