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나는누구인가
나는누구인가23.03.01

금리가 지금 낮아지긴 할까요?

최근에 전세대출받았는데요 진짜 금리가 어마어마 하더라구요ㅜ 일단 변동금리로 대출받았는데 6개월후에는 변동된 금액으로 다시 이자 책정될거같은데 금리가 더높아질까요?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다시금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에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지난달에 동결을 하였지만 시중은행들의 대출금리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결국 달러환율의 방어를 위해서 미국의 금리를 따라가야 한다는 것을 가정해야 하는데, 미국의 경우 지난 11월 10일 기점으로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빠르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1월까지는 인플레이션의 하락이 순조롭게 흘러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이 인플레이션 하락을 이끈 세부 내역을 보면 '에너지 부분'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수요침체가 발생하면서 원유 가격이 하락하고 이로 인해서 다시 OPEC+와 석유 기업들이 감산을 하면서 원자재 가격의 상승이 발생하면서 인플레 하락이 점차적으로 둔화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미국의 실업률이 51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여전히 강력한 소비시장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으며, 지난 11월 11일부터 시작된 달러의 약세시장 진입으로 미국은 지난 10월까지 달러강세를 통해서 다른 국가들에게 자국의 인플레이션을 수출하였던 것을 이제는 반대로 인플레이션을 역수입하는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을 토대로 생각하게 된다면 미국의 3월 CPI는 재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고 현재의 금리수준으로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없다는 결론이 서기에 미 연준은 다시금 긴축 완화에서 긴축을 빠르게 하고 정점 금리 수준을 5.25%에서 6%~6.5%까지 높게 잡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12월부터 정부가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누르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개인부채 연체 증가와 2금융권 PF대출의 연체잔액 증가가 큰 문제로 부각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달러환율이 상승하더라도 내부의 리스크 때문에 금리를 올리기 쉽지 않기에 최대한 달러환율의 상승과 금리인상의 저울질 하면서 금리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나라 금통위가 미국의 연준과 다르게 지금 정부의 눈치를 보고 정부에 귀속된 상태처럼 금리를 결정하고 있어서 미국과 같은 빠른 금리인상을 기대하기는 힘든 상황으로 보셔야 합니다.

    그렇기에 제일 처음 말씀드린대로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는 현재 1.5%에서 1.75%에서 크게는 2%까지 격차가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기준금리의 동결이있지만 각은행권은 예금금리의축소 대츨금리의 추가인상이 조만간단행될지도 모를일입니다.미연준에서 금리인상을 예고했기때문에 한국도 금리차의 벌어짐은 경제에 좋지않은 영향을 끼치므로 같은흐름으로 다가가지않을까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병찬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섣부른 판단하면 안되겠구요 많은 사람들이 기준금리가 현재3.5%로 거의 최고점에 왔다고 생각하는듯합니다. 미연방은행의 기준금리를 우리나라도 따라가는 입장이지만 지금은 그 격차가 1.25%나 벌어져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더올라도 전혀 이상하지않다는것이죠 그러나 정부의 강력한 제재로 한은에 금리를 더는 못올리도록 요구했고 시중은행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금리가 오르다말고 요즘 다시 주저앉았죠

    현 상황에서 약간은 모르겠으나 기준금리를 무시하고 대출금리를 많이 내리는건 쉽지않아보입니다 큰 변동없이 유지되거나 좀더 올라도 이상할것없는 상황이구요 아마도 올해까진 비슷하게 유지될거란 전망이 많구요 추후 언젠가는 다시 금리가 내려가긴하겠지만 그게 언제가 될지는 아직 모릅니다.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금의 미국과 세계 경제 흐름으로 보면 금리가 상승할 확률이 높다고 예상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