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8.16

전문의와 일반의사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나이
50
성별
여성

의사들중에서 일반의사가있고 전문의가 있던데 일반의사랑 전문의의 차이점이 뭔지 궁금합니다.

전문의과정이 따로 있는건가요?

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지영 의사blue-check
    김지영 의사22.08.18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일반의사 단계에서 추가적으로 전문 과를 선택하여 3~4년간 수련을 한 후 국가에서 전문의 자격 시험을 통과하면 전문의가 됩니다.

    전문의 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전문의는 인턴, 전공의 수련과정을 거쳐서 해당 분과의 전문 자격시험을 치룬 사람을 말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전문의는 일반적으로 세부 전공인 내과, 소아과, 산부인과, 외과에서 수련을 받고 전문의 자격증을 딴 의사를 뜻합니다. 일반의의 경우 세부 수련전공 없이 진료를 보는 의사를 일반적으로 뜻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일반의는 의사 자격증만 가지고 있는 의사입니다. 즉, 의과대학을 졸업하여 의사국가고시에 합격한 사람이 일반의입니다.

    전문의 경우에는 일반의가 인턴, 레지던트의 전공의 과정을 거친 뒤 각 전문의 학회에서 주관하는 전문의 시험을 통과하여 합격한 자에게 주어지는 자격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연철 의사입니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 후
    의사 면허를 발급 받은 의사를 일반의라고 합니다.
    (일반의라고 하더라도 자신이 진료하는 분야에 대해
    상당 기간의 진료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진료를 합니다)

    의사가 된 후 3-4년 간의 수련 과정(레지던트)을 거쳐
    해당 과목(내과, 외과, 정형외과, 가정의학과, 피부과 등)의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의사를 전문의라고 합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https://www.mkhealth.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140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일반의는 의대를 졸업하여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한 뒤 의사면허를 취득한 자이고,

    전문의는 일반의 자격을 취득한 뒤 인턴 과정, 레지던트 과정을 모두 거친 후 전문의 시험을 통해 자격을 받은 자 입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일반의사의 경우 의대졸업후 의사면허만 취득한다면 일반의사가 됩니다.

    하지만 전문의의 경우는 일반의사 취득후 최소3-4년 전문의과정을 수련한후 전문의자격시험을 통해 해당과의 전문의가 될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승명 의사입니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국시를 합격하여 의사면허를 받으면 일반의이고
    수련병원에서 인턴 및 레지던트 과정을 지나서 전문의 자격증을 받았을때 전문의라고 부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네 전문의과정을 밟아야

    일반의에서 전문의가 됩니다

    * 아하 답변은 통상적인 답변만 드릴 수 있으며 병원진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궁금한 사항있으면 댓글 남겨주십시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 국가고시를 쳐서 합격하면 의사가 되고 면허가 부여됩니다.

    이때부터 의사로서의 모든 진료 및 활동이 가능합니다.

    추가로 인턴이라고 해서 1년 간 여러과를 돌면서 각 과의 기본적인 경험 및 수련을 하게 되고

    이중 본인의 적성과 맞는 과를 선택해서 그 과만 4년간 더 수련하고 배우는 경우

    이 기간의 의사를 '레지던트' '전공의' 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의사 면허를 따고 난 뒤에도 1+4년을 더 공부하고 수련해서 시험에 통과한 경우 해당과 '전문의'가 되게 됩니다.

    외국의 경우 90% 정도가 의사국가고시만 통과한 일반의사나 인턴(외국의 경우 1-2년제)만 수료한 의사로

    이루어져 있고 약 10%정도만 전문의 입니다

    또한 전문의 진료를 보려면 대부분의 경우 일반의 진료를 본 이후에 진료 의뢰를 통해서만 전문의 진료가 가능합니다. (주로 유럽)

    국내는 약 83-87% 정도가 전문의이며 또한 바로 1차 진료를 보고 있어

    평균적인 의료 수준은 외국에(특히 유럽) 비해서 월등히 높은 편에 속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의과대학을 졸업하면 의사면허가 나옵니다. 이후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을 모두 마치고 전문의 시험을 통과하면 전문의라고 하지요. 나머지는 일반의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인턴이나 레지던트를 하고 있는 경우는 수련의라고 따로 부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