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일반의 전문의 차이 알려주세요

나이
3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의사줄에서 일반의 와 전문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둘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기섭 안과 전문의
    박기섭 안과 전문의
    건양대병원

    안녕하세요.

    일반의는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면허 취득 후 수련과정(인턴, 레지던트)거치지 않았거나, 인턴만 마치거나, 혹은 레지던트 수련를 마치지 못하여 전문의 자격증이 없는 경우 일반의라고 지칭 할수 있습니다.

    전문의는 수련과정을 모두 마치고 전문의 자격증을 딴 경우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전문의는 해당과를 전공으로 3-4년 수련 후 전문의 시험을 치른 후 합격한 의사를 칭하며 일반의는 인턴등만 이수하고 세부 전공을 갖지 않은 경우 일반의라고 칭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일반의는 의사면허만을 소지한 상태이며

    전문의는 이 과정에 더하여 3~4년간의 전문과 수련과 국가 전문의 자격 시험 과정을 거친 의사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일반의는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국가고시를 합격한, 즉, 의사의 자격이 있는 분들입니다.

    전문의는 일반의들 중 인턴과 레지던트의 전공의 수련 과정을 거친 뒤 전문의 시험을 통과하여 전문의 자격을 받은 의사분들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전문의는 해당 전문과목에 전공의과정을 마치고

    전문의 자격시험을 합격한 사람을 말합니다..

  •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 국가고시를 쳐서 합격하면 의사가 되고 면허가 부여됩니다.

    이때부터 의사로서의 모든 진료 및 활동이 가능합니다.

    추가로 인턴이라고 해서 1년 간 여러과를 돌면서 각 과의 기본적인 경험 및 수련을 하게 되고

    이중 본인의 적성과 맞는 과를 선택해서 그 과만 4년간 더 수련하고 배우는 경우

    이 기간의 의사를 '레지던트' '전공의' 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의사 면허를 따고 난 뒤에도 1+4년을 더 공부하고 수련해서 시험에 통과한 경우 해당과 '전문의'가 되게 됩니다.

    외국의 경우 90% 정도가 의사국가고시만 통과한 일반의사나 인턴(외국의 경우 1-2년제)만 수료한 의사로

    이루어져 있고 약 10%정도만 전문의 입니다

    또한 전문의 진료를 보려면 대부분의 경우 일반의 진료를 본 이후에 진료 의뢰를 통해서만 전문의 진료가 가능합니다. (주로 유럽)

    국내는 약 83-87% 정도가 전문의이며 또한 바로 1차 진료를 보고 있어

    평균적인 의료 수준은 외국에(특히 유럽) 비해서 월등히 높은 편에 속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연철 의사입니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 후
    의사 면허를 발급 받은 의사를 일반의라고 합니다.
    (일반의라고 하더라도 자신이 진료하는 분야에 대해
    상당 기간의 진료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진료를 하게 됩니다)

    의사가 된 후 3-4년간의 수련 과정(레지던트)을 거쳐
    해당 과목(내과, 외과, 정형외과, 가정의학과, 피부과 등)의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의사를 전문의라고 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https://www.mkhealth.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140

  • 안녕하세요.

    일반의는 의대를 졸업하여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한 뒤 의사면허를 취득한 자를 말합니다.

    전문의는 일반의 자격을 취득한 뒤 인턴 과정, 레지던트 과정을 모두 거친 후 전문의 시험을 통해 자격을 받은 자 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의과대학을 졸업하면 의사면허가 나옵니다. 이후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을 모두 마치고 전문의 시험을 통과하면 전문의라고 하지요. 나머지는 일반의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인턴이나 레지던트를 하고 있는 경우는 수련의라고 따로 부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