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도롱이
도롱이

부실기업을 피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요.

투자할 때, 부실 기업은 피해서 투자해야 한다고 하는데,

기업의 어떠한 부분들을 봐야 이 기업이 부실한 기업인지 알 수 있을지 노하우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부실기업을 피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가장 확실한 방법은 공시되는 내용 중에서

    현금흐름표등 재무제표를 살펴보시면서

    파악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실기업을 피하려면 매출액과 자기자본의 상승 여부, 이자보상 비율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부채비율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실기업은 현금흐름이 약하고 단기차입이 긍증하며 감사의겨니이 부정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이거나 재고, 매출채권이 과도하면 위험신호입니다. 재무 제표외에도 경영진 리스크와 산업 흐름을 함께 점검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실기업의 재무제표를 확인하는게 좋습니다.

    유동비율, 당좌비율이 기준인 100%, 70% 보다 낮은 경우 유동성이 부족하다는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부채비율이 200%를 넣으면 빚이 많아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런 기업은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재무 상태표에서 부채비율을 확인해야 하는데, 업종 평균 대비 지나치게 높거나 자본보다 부채가 많은 자본잠식 상태인 경우 부실 징후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손익계산서를 통해 기업의 수익성을 점검해야 하며, 특히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흐름이 지속적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면 경고 신호로 봐야 합니다. 또한, 단순히 당기순이익만 볼 것이 아니라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이어서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겉보기엔 멀쩡한데 속은 썩은 경우가 많습니다. 부실기업을 걸러낼 땐 숫자보다 흐름을 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매출은 늘어나는데 영업이익이 줄거나, 부채비율이 계속 오르고 현금흐름이 마이너스라면 위험 신호로 봐야 합니다. 또 감사의견이 적정이 아닌 경우, 임원 교체가 잦거나 내부 거래가 많을 때도 찜찜한 부분입니다. 그냥 보기엔 성장하는 회사처럼 보여도, 돈이 실제로 돌지 않으면 결국 부실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실기업은 주가가 하락하는 것을 막을 힘이 없으며, 기술적 분석에서도 차트가 우하향하는 모습을 많이 보입니다. 이러한 부실기업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분석으로 차트의 상태를 파악하느 ㄴ것도 좋지만, 기본적 분석에서 재무재표를 확인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포털사이트에서 finance 를 통해서 확인하거나 또는 dart를 통해서 기업의 재무재표 및 실적 현재의 상태 등을 파악하고 투자를 하시는 것이 좋고, 만약 이러한 부분이 좋지 않다면, 과감히 손절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부실기업을 피하려면 재무제표의 부채비율, 유동비율, 영업현금흐름을 꼼꼼히 분석하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지속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경영진 신뢰성, 산업 성장성, 시장 평판, 감사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안정적이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재무제표를 꼼꼼히 들여다보고, 특히 수익성, 재무 건전성, 그리고 회계의 투명성을 의심해볼 수 있는데요. 이자보상배율이 자꾸 감소하거나 운전자본이 악화되는 기업이라거나 유동비율이나 부채비율, 총자산이익률처럼 기업의 지불 능력, 빚 부담, 수익성을 보여주는 주요 재무 비율들이 계속해서 나빠지는지를 주의 깊게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