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eogus815
eogus81523.06.08

일제강점기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일제강점기 때 학생들은 독립 운동 참여하는 학생들만 있었나요?

아니면 교육을 통해 더 대항하려는 학생들도 존재했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8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립운동도 하고 교육을 통해 때를 기다리는 학생도 있었습니다.

    1928년 6월부터 동맹 휴교 형태로 가열된 광주 학생의 대일 항쟁은 날이 갈수록 단계적인 심화와 발전을 거듭하였습니다. 1928년대의 광주고등보통학교를 비롯한 동맹 휴교가 다음해의 민족 독립 항쟁의 길로 연결되지 않았더라면 1929년에서 1930년대의 전국적인 항일 학생 민족운동은 양상과 시기를 달리했을지도 모릅니다. 그런 점에서 광주의 항일 학생운동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역사적 의의를 지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첫째, 광주 학생들은 당시 사회운동·청년운동을 포함한 민족 독립운동에 대해서 민감한 수용력을 보여주었고 그것을 체득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습니다. 우리 민족사가 일제의 강점으로 식민지화되어 있을 때 민족 독립을 위한 역사적 과제를 모색하는 생동력 있는 지성을 추구해 나갔습니다.

    둘째, 광주 지역에는 이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성진회가 창립되어 민족 독립의 성취를 위한 이론을 다양하게 연구하여 대일항쟁요원을 육성, 조직한 점입니다. 셋째, 일제 강점 하의 한국 사회에서 누구든지 민족적 방향, 그리고 인간적 차원에 선 대일 감정이 있었습니다. 아무리 소박한 측면에서라도 일제는 침탈자요 수탈자이며, 폭력을 동원하는 압박자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반일선상의 상식을 조직성과 집단력이 강한 학생층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구체적으로 비판하고자 하였는데, 민족 차별과 식민지 교육 체제, 여기에 대한 '민족 독립의 필요성'은 부각되는 것입니다.

    광주 학생이 위와 같이 부각된 문제점들을 집약하여 가장 어렵고 불리한 상황 속에서 궐기할 수 있었다는 것은 이상과 같이 민족의 저변에 깔린 당위를 확신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광주 학생의 항쟁은 일본 제국주의의 타도를 통한 민족의 독립과 이 길을 위해 식민지 교육 체제를 반대하고, 민족 교육을 주창하며 궐기한 민족 독립 항쟁인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