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즐거운 나날
즐거운 나날22.08.29

체했을 때 손가락 따기(찌르기) 효과 있을까요?

나이
73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연휴에 갑자기 체한 사람에게
달리 방도가 없어서 세균 감염에 주의하면서
약국에서 판매하는 사혈기 채혈침을 사용하여 손가락을 찔러
깜짝 놀라도록 자극을 주어보니 체한 증상이 가라앉더군요.

이게 놀라서 혈액 순환이 된 걸까요,
아니면 단순한 플라시보 효과일까요?

오랫동안 전래되어온 민간요법으로,
수많은 사람이 나름의 효과를 봤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
혹시라도 그 나름의 과학적인 근거가 숨어 있는 것 아닐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신경을 자극해서 위장관으로 가는 신경도 영향을 받아서 좋아진다는 이론도 있지만

    피를빼서 그렇다는건 맞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오랜 시간 전해온 민간요법? 한의학?이기는 하나 과학적 근거는 없어서요. 의학제으로는 권장되지는 않으나 나중에 연구해보면 재밌을 것 같기는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과학적, 의학적 근거는 없습니다.

    손가락 통증에 의해 체한 증상에 집중하지 못하고 신경이 분산되는 정도는 기대해볼 수 있겠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급체를 했을 때 손을 따는 행동은 의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에 불과하며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경우는 대부분 손을 따는 행동 자체가 주는 안심에 의한 플라시보 효과 때문입니다. 오히려 손을 따는 행위는 감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체를 하고 검은 혈액이 나오면 독소가 빠져 나온다고 알려져 있지만 정맥혈은 원래부터 검붉은 색깔이며, 산소와 맞닿으면 급격하게 어두워지는 습성도 갖고 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도 검은 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체하였을 때 손을 따는 행동은 의학적으로는 특별한 근거가 없는 플라시보 효과입니다. 과학적인 근거가 숨어있는지 모르겠으나, 현재까지 그 근거가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체했을시 손을 따시는 것은 의학적으로는 전혀 근거가 없는 민간요법입니다.

    오히려 2차적인 감염을 일으킬수도 있기 때문에 삼가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