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쾌활한상사조240
쾌활한상사조24023.11.27

스트레스 없는 불면증이 왔는데 어떻게 해결할까요?(교감신경항진증)

나이
23
성별
여성

제가 10월에 늦잠으로 회사를 몇번 지각한 이후로 아침에 일어나는 것에 대한 부담이 약간 생겼어서 일요일 밤만 되면 잠을 잘 못 잔지 2주 정도 되었을 때


때마침 부모님 건강검진도 있어서 걱정이 많아져

평일에도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증상이 심해져 결국 신경정신한방과를 찾아갔고,

각종 검사를 했더니 스트레스 지수는 "스트레스가 거의 없는 상태"로 나왔고.


교감신경이 엄청 높이 솟아있었습니다. 많이 치우쳤다고 하시더라구요.


아마 지각에 대한 걱정+부모님 건강에 대한 걱정 때문일거라고 하시긴 했는데..


건강검진이 끝나고 아무 이상 없다는 걸 확인한 이후로는 나름 괜찮게 자다가 (일요일밤은 계속 설침)


갑자기 어제부터 또 불면증이 찾아왔습니다.


어떻게 해결해야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불면증의 치료에는 약물 치료와 비약물 치료가 있습니다. 불면증의 이차적 원인이 발견되면 해당 원인 질환에 적합한 약물치료를 시행합니다. 그러나 이차적 원인이 없는 경우, 다양한 약물 치료 옵션이 있습니다.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이러한 약물은 수면 유도 효과뿐만 아니라 항불안 효과, 근육 이완 효과, 항간질 효과 등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단기간 사용을 권장하며, 장기간 사용 시 내성과 의존 문제에 주의해야 합니다.

    멜라토닌: 멜라토닌은 비행시차나 야간 교대근무에 도움을 주는데 알려져 있으며, 노인에서 수면을 개선시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그러나 멜라토닌의 수면 유도 효과는 개인차가 크며, 장기간 복용 시 내인성 멜라토닌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비약물적 치료로는 인지행동치료가 효과적입니다. 이 치료법은 정신생리적 불면증뿐만 아니라 다른 원인으로 인한 불면증에서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인지행동치료에서 다루는 주제는 수면 시간의 유연성, 일정한 수면-각성 리듬 유지, 저녁 늦은 시간의 운동 피하기, 공복 상태 피하기, 낮잠 제한, 수면 시간 제한, 시계 숨기기, 침실에서 TV나 책 보지 않기, 잠이 오지 않을 때 조용한 활동 실시, 이완요법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치료 옵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불면증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인 질문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불면증에 대해서는 수면 습관, 위생 및 환경을 일정하게 그리고 쾌적하게 잘 유지해주어야 합니다. 다음을 시도해보시길 권고드립니다:

    1) 카페인은 되도록 섭취하지 마시고, 섭취 한다면 낮 시간 동안만 하기

    2) 자기 전에 휴대폰, 컴퓨터 등 전자기기 사용을 피하고 독서 등 조용한 활동을 하기.

    3)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되, 자기 전에는 운동 활동을 하지 않기.

    4) 일정한 시간에 잠을 자고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습관을 기르기.

    5) 일정한 장소에서 수면하고, 수면하는 장소는 조용하게 유지하고 지나치게 밝지 않도록 충분히 어둡게 유지하기.

    6) 음주량을 줄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