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조용한남생이120
조용한남생이12023.03.24

우리 나라 역사에 무속인이 처음 나오게 된 것은 언제 부터 인가요???

세계 모든 나라에 주술사와 같은 무속인들이 있는데 우리 나라에선 언제부터 무속인이 등장 하게 된 것인지 그리고 그 배경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언제부터인지 알 수 없습니다. 아주 오래되었습니다.

    단군 할아버지가 정치적 우두머리이고 동시에 종교적으로 우두머리라고 할 때

    그 종교가 바로 무속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무속에 관한 기록은 신라 남해왕 때로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시기라는 1세기 초 입니디.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무속인은 고조선부터 등장합니다. 농경사회 였기때문에 비가 와야하고 재난을 피해야 하고

    그래서 무속인의 힘을 하늘의 노여움을 사지 않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역사에서 무속인은 고려시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후 조선시대에도 무속인이 존재하였습니다.


    고려시대에는 무속을 믿는 사람들이 있었으며, 이들은 대개 무신을 숭배하였습니다. 무신은 산과 강, 바다, 하늘 등 자연의 현상을 신격화한 것으로, 농경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고려시대의 무속인은 대개 무신을 숭배하면서 농업과 관련된 예술, 의식 등을 지키고 전해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조선시대에도 무속인은 존재하였습니다. 하지만, 조선시대는 무속을 비롯한 다른 종교와 관련된 활동을 엄격하게 규제하였기 때문에, 무속인들은 대개 비밀리에 활동하였습니다. 그러나, 조선시대 말기부터는 무속인들이 공개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하나는 동국대학교를 창설한 유관순 교수의 아버지인 유시민으로, 유시민은 무속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하나로 꼽힙니다.


  • 신석기 시대의 샤머니즘을 그 배경으로 볼 수 있습니다. 샤머니즘에서는 공동체의 제사를 주관하는 역할을 하는 샤먼이 존재합니다. 신석기 시대에 농사를 위해 하늘에게 기도하며 샤머니즘, 토테미즘, 애니미즘이 시작되었습니다.

    샤먼은 인간계와 영계(靈界)를 잇는 매개자의 역할을 한다고 여겨졌습니다.

    한편 무속신앙은 고조선의 시대적 배경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 시대는 나라를 다스리는 통치자이면서 하늘의 사제(司祭)직을 동시에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을 단군(檀君)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는 고조선을 다스리는 통치자의 기능은 물론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샤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반도 5천년 역사를 돌이켜 본다면 아마도 단군을 몽골의 천신인 텡그리와 같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많이 있다고 하는데요. 단군 왕검에서 단군은 한국 고유의 말을 한자로 표현한 것으로 제정 일치 사회의 제사장, 즉 종교의 우두머리를 뜻하며 왕검은 왕을 뜻한다는 설이 있습니다.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곰이 마늘을 먹고 사람이 되었으며 이러한 것들이 바로 무속적인 신앙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한국의 무속인 문화는 매우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조선 시대부터 무속적 신앙과 문화가 존재하였으며, 삼국시대부터 특히 귀족 사회에서 무속적인 신앙과 관행이 보편화되었습니다.

    무속적 신앙의 보편화는 고려 시대에 이르러서도 이어졌습니다. 고려 시대의 무속적인 신앙은 주로 신앙적인 의미와 함께 예술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 예로는 무속인이 참여하는 무용, 음악, 무예 등이 있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무속인 문화가 제한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그 시대의 정치적인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조선 시대는 유교 국가로서 국가의 이념과 사회제도가 유교적인 규범에 기반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무속인 문화는 존재하였고, 이는 도덕적인 규범을 넘어 인간의 육체와 영혼에 대한 깊은 관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0세기 이후, 한국의 무속인 문화는 대중문화와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발전해왔습니다. 현재에도 여전히 무속적인 신앙과 문화는 많은 사람들에게 큰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의 문화와 사회 제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무속의 기원은 일반적으로 고조선

    때로 잡는다.

    단군 왕검에서 단군은 한국 고유의

    말을 한자로 표현한 것으로

    제정 일치 사회의 제사장, 즉 종교의

    우두머리를 뜻하며 왕검은 왕을

    뜻한다는 설이 있다.


  • 안녕하세요. 한도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 후기부터 광복 이후까지의 시기에 민간의 불안정한 상황, 일본의 식민지 침략, 한국전쟁 등 다양한 사회적 변동 요인들이 무속적인 신앙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수요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속인은 사회적 약자들의 필요에 따라 자연스럽게 출현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