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박식한비둘기179
박식한비둘기179

기준 금리가 10% 가까이 오를까요?

워낙 양적 완화라고 해서 화폐를 많이 발행해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려 다시 거둬들이기 위해 금리를 계속 올리고 있는데요 과연 계속 오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새벽공기
      새벽공기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금리를 계속 올릴 수는 없습니다.
      금리를 너무 많이 올리게 되면 소비여력이 줄어들어 수요를 위축시키고
      결국 경기침체를 유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요가 위축되면 기업의 고용과 설비투자가 줄어들게 되어 실업률을 크게
      상승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역시 경기침체를 유발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의 금리인상은 물가가 어느정도 안정이 되면 더 이상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이미 물가는 고점을 찍었다고 볼 수 있어서 미국도 5%이상은 올리기 힘들어 보이고

      한국도 에너지원물가가 30%가까이 올라서 0.2% 상승하였지만 다른 물가는 내려갔습니다.

      이미 11월 부터 수입물가가 빠른 속도로 내려간 것을 보면

      한국도 많이 올려야 0.25%~0.5% 이며

      4%이상은 부도나는 기업들이 급속도로 늘 것이라서 하기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금리는 이제 거의 고점에 다왔기 때문에 10%까지 오르진 않을 것입니다.

      • 또한 법정 최고 한도 대출금리가 20%인 만큼 기준금리가 10%로 가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는 우리나라의 경우 4% 이내, 미국의 경구 5.5%내외로 예상되는 바 10%까지 오를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작년을 시작으로 기준금리가 매우 가파르게 상승한 상황이며, 미국의 기준금리는 4.75%까지 상승하였는데 다행스러운 점은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는 빠르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있더라도 가파른 금리인상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 같다는 점입니다.

      그렇기에 지금 현재 미국의 인플레이션 수준을 감안시에는 기준금리가 10%까지 상승하기에는 조금 힘들 것으로 예상되며 정말 높게 상승하게 되더라도 6% 수준까지가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