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8

자동차 멀미는 무엇 때문에 하는것인가요?

제가 직접적으로 운전할때는 멀미를 안하는데 다른사람이 운전하는 차에 타면 항상 멀미가 나더라구요. 이게 무슨 이유가 있는것인가요? 다른사람들은 내가 운전하면 멈추는 타이밍과 전진하는 타이밍을 미리 인지하기 때문에 안한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과학적으로 설명이 가능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23.02.18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미는 우리 귀 안쪽에 있는 평형 및 중력을 느끼는 기관이상으로 나타납니다.

    해당 기관 안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달려있는데, 자동차가 불규칙적으로 위아래나 좌우로 흔들리면 평소에 느끼던 자극이 아닌 갑작스런 중력변화 자극으로 인식됩니다.

    너무나도 강한 자극이 계속 들어오기 떄문에 뇌에서는 혼란스러움과 어지럼증을 느끼게 되고 이것을 멀미라고 부릅니다.

    직접 운전을 하게 되면 운전이라는 행위에 집중하기도 하고, 대략적으로 움직임이 예측이 되어 멀미를 유발하는 신호에 대해 크게 자극적이지 않도록 느끼기 때문에 멀미가 덜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미는 불규칙한 움직임에 대한 신체반응으로,우리몸이 불규칙하게 움직일때 그움직임이 내이(內耳)의 세반고리관내 림프액에 전달되어 그 비정상적인 진동이 뇌의 구토 중추에 전해져 일어납니다.

    또한, 자동차 등의 탈것에서의 피동적인 움직임은 내이,눈,관절과 인대를 통해 신호로 뇌에전달되는데, 서로 다른 신호들이 어울리지 않고 상반될 때 멀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들면,배를 타고 파도를 바라보고 있으면 눈은 파도의 움직임을, 내이는 배의 움직임을 신호로 뇌에 보내게 되는데, 이 신호가 상반 될 때 멀미가 일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미가 나는 이유는 감각의 불일치 때문이다. 즉 달리는 차 안에서 눈은 고정되어 평형된 상태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반면, 전정기관인 몸은 계속 움직이기 때문에 뇌에서 눈은 움직이지 않고 있는데 몸은 움지이고 있어서 혼란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래서 멀미를 하게 되는것입니다. 운전자는 운전을 하면 서 자신이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눈으로 본것과 몸이 동일하게 느껴서 멀미를 하지 않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