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파란개리145
파란개리14522.10.26

미국의 기준금리인상 2024년까지 이어질까요?

증권가에서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인플레이션 헤지보다 경기자체를 침체국면으로 전환시키 위한 조치로 생각하던데, 그렇다면 금리인상 기조를 2024년도까지 이어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러시아와 우쿠라이나 전쟁 그리고 그에따른 에너지대란등 인플레이션의 변수가 많습니다.최근들어 기후변화에 따른 곡물생산량 감소도 있구요. 당초 경기침체가되어도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위해 강력한 금리인상을 실시한다고 하였지만 최근들어 금리인상 조정론이 제기가된만큼 속도를 늦추어 올린다고 하면 장기적으로 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무한정 계속 올리는 것은 힘듭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경기침체 직전까지 몰아갈 수는 있지만 2024년까지 꾸준히 올리기에는 기간도 길고 그 안에 인플레이션이 어느정도는 잡힐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내년쯤엔 동결하는 시점이 올 것이고 2024년엔 금리인상 기조가 아닐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긍정적으로 바라본 시나리오이고 아닐 확률도 있으니 모든 리스크에 대비는 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4년까지 계속하여 금리인상이 이루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금리인상은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내년 하반기부터는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져 금리 동결 및 인하 등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의 기조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작년말만 하더라도 인플레이션에 대하여 일시적이라고 했던 FED가 현재는 완전히 말을 바꾼 것에서도 이를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2023년 상반기까지는 금리 인상이 이어질 것으로 판단되지만 인플레이션이 확실히 꺾이거나 경기 침체가 발생하는 경우 다시 금리를 인하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