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3.02.03

일본 경제를 잃어버린 30년이라고 하죠.

일본 경제를 잃어버린 30년이라고 하죠.

일본은 왜 잃어버린 30년을 맞이 한건가요? 그 주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도 그렇게 되지 않도록 준비를 잘 했으면 좋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잃어버린 30년이란 198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일본 경제가 침체된 시기를 일컫는 말입니다. 이 기간 동안 일본 경제는 저성장, 디플레이션, 장기간의 높은 실업률을 경험했습니다. 이 시기는 나라와 국민에게 어렵고 도전적인 시간이었습니다.

    잃어버린 30년의 이유는 한 가지가 아니지만 경제 침체에 기여한 몇 가지 요인에는 자산 가격 거품의 붕괴, 통화 정책의 긴축, 세계화 및 기술 변화로 인한 도전이 포함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잃어버린 30년이라는 경기침체가 발생하게 된 이유는 플라자합의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1985년 9월 22일 미국 뉴욕에 위치한 플라자 호텔에서 미국은 무역수지의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서 미국 주도의 '미국달러 환율'을 내리게 되는 플라자합의를 제안하게 됩니다. 그리고 일본을 비롯한 영국, 프랑스, 서독은 이 합의에 동의를 하게 되었고 이 플라자 합의를 통해서 달러가 약세로 전환됨에 따라서 엔화,마르크화등의 가치가 상승하게 되면서 일본의 수출이 감소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일본은 엔화강세에 따라서 일본 기업들의 수출실적이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수출기업들이 위기에 처하자 '금리인하'를 통해서 위기를 극복하고자 합니다. 금리가 저금리 기조가 되다 보니 일본 내수시장이 크게 상승하기 시작하였는데, 이게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일본의 부동산 시장의 급격한 상승 즉 부동산 버블의 시작이었습니다. 이렇게 부동산이 천정부지로 상승하자 일본정부는 부동산 가격의 억제를 위해서 대출량 총규제, 금리인상을 통해서 억제하기 시작합니다. (기준금리 2.5%->6%까지상승)

    결국 기준금리 인상과 정부의 규제로 인해서 일본의 부동산담보대출을 받은 이들이 급격하게 부실화되기 시작하였고 부동산가치가 크게 하락하게 됩니다. 그리고 일본 국민들은 빚을 갚기 위해서 소비를 줄이게 되었고 이 소비의 감소가 지금까지 이어져 오면서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