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영유아·아동 식단

무조건통통한원앙
무조건통통한원앙

6세여아(만 4세), 밥을 못삼키겠다고 합니다

원래도 잘 먹는 아이는 아니라 식사량도 적고

또래보다 작고 마른 아이입니다.

모유수유때는 한창 크다가 이유식 넘어서면서 부터 성장속도가 느려졌고

앉아서 스스로 밥먹는것 아직도 어렵고 식사시간을 온전히 식사에 집중하는것은 아직 안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일주일 정도전부터는 입에 잔뜩 물고 있거나 씹어도 씹어도 넘기지 않은채로 물고있는 상황이 자주 있고 유치원에서도 식사가 원활하지 않다고 합니다.

아이에게 물어볼때면 이가 아프고 간지러워서 식사가 어렵다, 목에 음식물이 걸릴까봐 넘길수가 없다라고 하는데요

실제로 밥 말고도 간식도 조금 딱딱하거나 거친 음식물은 먹으려 하지 않고 , 복숭아나 귤과 같은 과일도 질긴 부분이 실가닥처럼 있어서 씹을수 없고 목에 걸릴것 같다고 합니다

아이에게 목에걸려서 불편했던 경험이 있느냐고 물으면

딱히 그런건 아닌데 아까 수박먹었을때 씨가 넘어가면서 걸린것 같았어 걸린건 아닌데

이런식으로 대답하거나 자꾸 걸릴것 같은 상상이 들어서 무섭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어서 먹으라고 딴짓하지말라고 씹어라,넘겨라 혼도 내보고 이해하려고 대화도 해보고 너무 불편하면 안먹어도 된다고도 해보고 스스로 식사량을 정하게 하여 식사를 해보게 하는 방법도 써봤는데 딱히 큰 반응이 없는것 같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6세 아이가 음식을 씹고도 목에 걸릴 것 같아 삼키지 못하고 입에 머금고 있습니다. 특별한 질식 경험이 없을지라도 음식 삼킴에 대한 두려움이 생길 수 있으며, 치아 통증 같은 신체적 불편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이런 행동은 오히려 질식 위험이나 충치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행동 교정이 필요합니다.

    억지로 먹이거나 혼내거나 강요를 하는것은 불안을 유발해서 금지하고 식사는 편안한 환경에서 30분 내로 식사를 마치는것이 좋습니다. 부드러운 음식부터 시작해서 미음 > 죽 > 밥 이런식으로 단계적으로 노출해서 민감과 불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수저로 작은 한입 크기로 담는데 아이가 스스로 먹게 선택권을 가지도록 유도해보세요. 그리고 삼킴장애가 있거나 치아 또는 목에 통증이 있는지 소아과나 치과 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