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궁금하면 못참는 신기한 미키
궁금하면 못참는 신기한 미키23.01.01

구름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구름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 지는건가여!?

그리고 손으로 안잡히는 이유는 무엇때문에 그런가요!?대기권에만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상승기류에 올라간 수증기들이 응축되며 생성되게 됩니다.

    손으로 잡히지 않는 것은 구름은 아주 미세한 얼음입자 또는 물입자의 집합체이기 때문입니다.

    높은 하늘에 있는 안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생성원리는

    먼저, 강이나 호수, 바다의 물의 태양에너지를 받아 증발한뒤 상승기류를 타고 공중으로 올라가게됩니다.

    이 수증기는 높은곳의 찬 공기와 만나 물방울이나 얼음결정이 되는데 이것이 우리눈에 하얀색 구름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차가운 공기 대류와 더운 공기 대류가 만나서 생기는 것입니다. 더운공기내의 습기가 찬공기를 만나면서 입자화 되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성됩니다. 지표면의 수증기가 대기권으로 올라가면 낮아진 온도로 인해서 응결되기 시작하면서 물방울이 생성됩니다. 이게 구름인거죠.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1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 중 수증기가 물로 변하는 현상을 응결 이고

    응결현상을통하여 먼지등 입자와 접하면서 응결됩니다.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를 만나면 공기는 상승하며 공기가 상승시 단열팽창 후 수증기들은 온도가 낮아지게 되며,​이 공기의 포화수증기량 감소후 상대습도가 상승합니다.​

    공기덩어리가 계속 상승 후 기온이 이슬점에 도달시 수증기가 응결되면 물방울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물방울이 새겨하늘에 떠 다니고 있는 구름이 됩니다.


  • 구름 입자의 크기는 매우 작습니다. 그래서 하늘 위에 떠다닐 수 있습니다.

    이 입자에 수증기가 조금씩 달라 붙게 됩니다.

    이것이 1mm 정도의 물방울이 되면 비가 내리는 구름이 만들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