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

공중에 있는 먼지는 왜 잘 안보이는 걸까요??

책상위를 건드리지 않고 냅두면 먼지가 쌓여서 잘보이는데요. 근데 이 먼지는 결국 공기중에 있는 먼지가 내려 앉아서 있는건데,,,왜 책상위에서는 잘 보이는데 공기중에는 안보이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멋쟁이야나는
      멋쟁이야나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책상이나 가구 위에 쌓인 먼지는 빛의 반사로 인해 시각적으로 잘 보이게 됩니다.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립자들은 빛을 반사하는 능력이 적어서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옥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입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유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1. 크기: 대부분의 먼지 입자는 매우 작으며 일반적으로 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1밀리미터 미만입니다. 너무 작기 때문에 쉽게 눈에 보일 만큼 충분한 빛을 반사하거나 산란시키지 않습니다.

      2. 빛의 산란: 먼지 입자는 가시광선의 파장과 크기가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 빛이 비슷한 크기의 입자를 만나면 우리 눈에 직접 반사되기보다는 모든 방향으로 흩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산란 효과로 인해 개별 먼지 입자가 눈에 띄지 않게 됩니다.

      3. 낮은 농도: 먼지 입자는 일반적으로 공기 전체에 분산되어 촘촘하게 쌓이지 않습니다. 농도가 낮으면 눈에 빛을 반사하거나 산란시키는 입자가 적기 때문에 가시성이 더욱 감소합니다.

      4. 배경 조명: 많은 실내 및 실외 환경에는 이미 상당한 양의 주변광이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조명은 먼지 입자가 생성하는 미묘한 빛 산란을 압도하여 개별 먼지 입자의 모양을 가릴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 중에는 먼지 입자가 퍼져 있지만, 책상 위는 먼지 입자가 밀집되어 쌓입니다. 빛은 밀집된 먼지 입자에 더 많이 반사되어 책상 위의 먼지는 잘 보이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공중에 있는 먼지가 왜 잘 안 보이는지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먼지는 작고 가벼운 입자로 구성되어 있어서 공기 중에 자유롭게 떠다닐 수 있습니다. 이 작고 가벼운 입자들은 빛을 산란시키는 특성이 있어 빛이 모든 방향으로 퍼지도록 만듭니다. 이로 인해 공중의 먼지는 빛을 여러 방향으로 퍼트리기 때문에 우리 눈에 먼지 자체가 잘 보이지 않습니다.

      둘째, 공기와 먼지의 굴절 지수 차이도 먼지가 잘 보이지 않는 이유입니다. 먼지가 있는 공기와 주위의 공기의 굴절 지수가 다를 경우, 빛이 굴절되면서 먼지가 있는 공기 내부와 외부 간의 경계가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굴절 현상은 먼지를 둘러싼 공기와 주위 공기 사이의 경계를 흐려지게 만들어 먼지가 보이지 않게 합니다.

      마지막으로, 공중에 떠다니는 먼지가 많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보통 실내나 실외에서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먼지 역시 눈에 잘 보이지 않을만큼 희박합니다. 이는 먼지가 바람이나 공기 중에 흩어져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먼지가 온전히 모이거나 뭉치지 않고 분산되어 있을 경우, 먼지가 보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